왕준성 중국 사회과학연구원 부교수는 8일 통일교육원이 개최한 해외 신진학자 국제학술회의 발제문에서 "현 한반도 상황에서 북한 비핵화를 위해 실현 가능한 계획은 북한 경제 개발을 위해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왕 교수는 "북한 비핵화를 위해선 주변국들이 남북한 사이의 교류가 증진되도록 도와야 한다"며 "이런 과정에서 중국은 북한 비핵화를 위한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중국은 한반도 분단 상황 때문에 국익에 많은 손해를 봤다"며 "대규모 미군 주둔은 중국의 주된 골칫거리이며, 등거리 외교 원칙으로 중국은 남북 모두로부터 깊은 신뢰를 얻지 못했다"고 밝혔다.
왕 교수는 "중국이 가장 보고 싶지 않은 것은 통일 한반도가 중국을 견제하는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라며 "최소한 친미(pro-US)는 아니어야 하며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케시 와타나베 일본 방위연구소 주임연구관은 "북한 비핵화는 정권 안정을 보장해 줄 평화체제가 전제돼야 할 것"이라면서도 "책임 있는 행동을 하도록 압박하는 한·미동맹 없이 북한이 평화체제가 가져다줄 자율성을 마음껏 누려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메리 베스 니키틴 미국 의회조사국 비핵전문가는 "현재 미국의 많은 한반도 정세분석가들은 남북 평화통일에 대한 전망을 어둡게 본다"며 "몇 년 전 통일의 기회가 가까워진 것처럼 보인 때가 있었지만, 북한 지도체제의 내구성과 폐쇄 경제를 유지한 능력은 모두를 놀라게 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