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세월호 참사 영향에 경기회복 지체"

2014-07-06 13:50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세월호 참사 여파로 생산·소비 등 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전반적으로 경기 회복이 늦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6일 발표한 '7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세월호 참사의 부정적 영향이 지속되는 가운데 경기 회복이 지체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KDI는 지난달 9일에는 "세월호 참사 영향으로 민간 소비 관련 지표가 부진했지만 여타 지표들은 완만한 경기회복세가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KDI는 이번 판단의 근거로 생산 관련 지표가 전월보다 부진하고,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도 2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인 점을 들었다.

5월 전 산업 생산은 조업일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크게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올해 들어 가장 낮은 74.7%를 기록했다.

민간소비 관련 지표도 세월호 참사의 영향으로 부진을 지속했으며 투자 개선 추세는 소폭 약화됐다고 KDI는 판단했다.

특히 5월 소매판매액지수가 전월보다 1.4% 늘고 서비스업생산지수도 0.6% 증가했지만 여전히 3월 수준을 밑돌고 있는 점에 비춰 세월호 참사의 부정적인 영향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설비투자 증가세는 둔화됐으며, 건설투자도 토목부문 부진이 심화되면서 전년 동월 대비 감소로 전환했다.

KDI는 노동시장에서도 작년 하반기 이후 지속된 취업자 증가세가 세월호 참사 영향으로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KDI는 "수출은 일평균 수출액이 증가하는 등 완만한 개선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KDI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기준(100)을 상회하는 수준이고 소비자심리지수도 다시 상승, 경기 회복세가 크게 위축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해석했다.

6월 중 수출은 전월(-1.0%)보다 높은 전년 동월 대비 2.5%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일평균 수출액도 전년 대비 6.9%의 높은 증가율을 보여 전월(3.2%)에 비해 증가폭이 확대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