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6/30/20140630162305199944.jpg)
[사진제공=삼성서울병원]
간이식 기증자를 대상으로 한 복강경 수술은 2010년 국내에 소개됐지만, 이후 복잡하고 어려운 술기 탓에 각급 병원의 이식 프로그램에 정식으로 포함되지 못했다.
권 교수팀에 따르면 지난해 5월 첫 수술을 한 이후 지금까지 복강경으로 수술한 간이식 기증자 21명의 경우 퇴원일이 수술 후 7일 전후로, 개복술에 비해 3~4일 정도 빨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에다 5mm에서 12mm 크기의 구멍을 뚫고, 간 주변부의 손상 없이 간을 절제해 꺼내는 복잡한 방법을 감수한 결과다. 환자들에게 필요한 진통제량 또한 개복술에 비해 50% 줄어들었다.
특히 개복술이 배에 커다란 흉터를 남기는 데 반해 복강경 수술은 작은 흉터만 남아 기증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바는 측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크다.
권 교수는 “친인척간 기증이 많은 간이식 수술에서 환자나 기증자 모두 개복술에 대해 부담을 느끼는 게 사실”이라며 “복강경 수술은 이러한 환자들의 고민을 해결해 줄 수 있는 획기적 대안”이라고 말했다.
이어 “환자가 가져갈 이점에도 복강경을 이용한 우측 간 절제술을 할 수 있는 전문가는 전 세계적으로 열 명 내외뿐”라며 “그동안 쌓아온 경험을 살려 복강경 간 절제술을 안전하고, 편하고, 쉽게 할 수 있도록 보편화에 힘쓰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