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새로운 발기부전 치료법 개발

2014-06-19 12:28
  • 글자크기 설정

서준규 교수팀, 당뇨성 발기부전 원인 단백질‘닌주린’역할 규명

아주경제 박흥서 기자 =인하대(총장·박춘배) 의학전문대학원 서준규, 류지간, 윤국남 교수팀은 혈관과 신경을 재생시키는 물질을 음경에 투여하면 발기부전을 개선한다는 사실을 세계최초로 밝혔다.

이 연구를 통해 발기부전 치료의 새로운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팀은 최근 발기부전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 결과, 혈관퇴행 및 신경염증반응을 유발하는 닌주린(Ninjurin-1)이라는 단백질이 당뇨에서 발기부전을 일으키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밝혔다.

또한 닌주린을 억제하는 항체를 당뇨성 발기부전 마우스의 음경에 투여한 결과, 이 항체가 손상된 음경 혈관세포 및 신경세포를 재생시킴을 관찰했고, 이로 말미암아 발기력이 오랫동안 회복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기존의 경구용 발기부전 치료제는 당뇨나 전립선암 등 골반장기 수술 후 발생한 발기부전 환자에서는 효과가 낮고, 협심증 치료제를 복용 중인 환자에서는 쓸 수 없는 단점들이 있는데 반해, 본 연구팀이 연구한 닌주린 차단항체를 음경 내에 1회 국소 주사할 경우 발기부전 마우스에서 1 개월 이상 정상 발기력을 유지하게 했다.

이는 사람에서는 적어도 수개월 이상 음경의 병변을 원래로 복원시키고 발기력을 정상으로 회복시킬 수 있을뿐아니라, 성 생활시 마다 매번 약을 복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추가 연구를 통해 닌주린 차단항체 주사가 상용화되면 단 1-2회의 주사로 오랜 기간 동안 정상 발기력을 유지시키는 바이오신약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왼쪽부터) 류지간, 서준규, 윤국남 교수 [사진제공=인하대]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병원특성화사업) 지원을 받아 이루어진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2014.06.16.)에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