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를 통해 발기부전 치료의 새로운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팀은 최근 발기부전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 결과, 혈관퇴행 및 신경염증반응을 유발하는 닌주린(Ninjurin-1)이라는 단백질이 당뇨에서 발기부전을 일으키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밝혔다.
또한 닌주린을 억제하는 항체를 당뇨성 발기부전 마우스의 음경에 투여한 결과, 이 항체가 손상된 음경 혈관세포 및 신경세포를 재생시킴을 관찰했고, 이로 말미암아 발기력이 오랫동안 회복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사람에서는 적어도 수개월 이상 음경의 병변을 원래로 복원시키고 발기력을 정상으로 회복시킬 수 있을뿐아니라, 성 생활시 마다 매번 약을 복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추가 연구를 통해 닌주린 차단항체 주사가 상용화되면 단 1-2회의 주사로 오랜 기간 동안 정상 발기력을 유지시키는 바이오신약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6/19/20140619122709609284.jpg)
(왼쪽부터) 류지간, 서준규, 윤국남 교수 [사진제공=인하대]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병원특성화사업) 지원을 받아 이루어진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2014.06.16.)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