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4회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 개관

2014-06-06 09:41
  • 글자크기 설정
 

 

안세권, “청계천에서 보는 서울의 빛,” 2004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5일 오후 4시 30분(현지시간) 이탈리아 베니스시 카스텔로 공원에서 올해로 14회를 맞은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에 참여한 한국관이 개막했다.

 1995년부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권영빈)가 운영하고 있는 한국관은 올해로 19번째 전시다. 
 한국관의 전시 주제는 총감독인 렘 콜하스가 제안한 <근대성의 흡수: 1914-2014> (absorbing modernity : 1914-2014)라는 국가관의 전시 주제에 따라 남북한의 건축을 주제로 한 <한반도 오감도>전으로 선보인다.

 한국관 전시의 커미셔너는 조민석 매스스터디스 대표다. 배형민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안창모 경기대학교 교수가 큐레이팅한 이번 전시에는 국내외 29명의 작가가 참여했다.

  <한반도 오감도>는 지난 백 년의 남북을 아우르는 건축적 현상에 대한 연구로 크게 <삶의 재건 – reconstructing life>, <기념비적 국가 - monumental state>, <경계들 - borders>, <유토피아적 관광 - utopian tours> 네 가지의 주제로 나뉘어 구성된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한국관의 전시를 둘러본 해외 인사들의 반응이 고무적이었다"고 밝혔다.  렘 콜하스 총감독은 한국관 전시의 방대한 양의 리서치에 감탄하며, 다른 국가관들의 큐레이터들에게 한국관의 전시를 꼭 보게 하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스위스관의 커미셔너인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도 한국관 전시를 관람 후 조민석 커미셔너에게 최고의 전시라고 평했다고 전했다.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은 7일 공식개막 11월 23일까지 열린다.
 

지동석, 5.1 경기장 건설, 1988, 수묵화


■참여작가=안세권, 알레산드로 벨지오조소(alessandro belgiojoso), 닉 보너(nick bonner, featuring만수대 창작사, 저자 미상의 북한 예술가 및 건축가들), 마크 브로사(marc brossa), 최원준, 찰리 크레인(charlie crane), 막심 델보(maxime delvaux), 전민조, 강익중, 카롤리스 카즈라우스카스 & plt planning and architecture ltd., 김동세, 김한용, 김기찬, 김석철 & 프랑코 만쿠소(franco mancuso), 김수근, 이영준, 크리스 마커(chris marker), 필립 모이저(philipp meuser), 문훈, 모토엘라스티코(motoelastico), 오사무 무라이(osamu murai), 피터 노에버(peter noever, featuring ‘flowers for kim il sung, mak, 2010’ 전시의 북한 건축가들), 박경(featuring ‘project dmz, storefront for art and architecture, 1988’의 백남준과 예술가들), 제임스 파우더리(james powderly), 신경섭, 서현석(featuring 북한 건축가 김정희 등), 서예례, 이상, 임동우.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