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민심은 냉혹했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첫 전국단위 선거인 6·4 지방선거에서 민심은 ‘정권수호’가 아닌 ‘견제론’을 택했다.
하지만 정부 견제론이 야권이 대승으로 이어지지 않아 사실상 여야 모두 민심의 심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특히 정부여당은 지방선거 전체 판세의 절반을 차지하는 서울과 보수 성향이 강한 충남에서 참패, 지방권력 탈환에 실패했다.
이는 세월호 참사 과정에서 드러난 정부의 재난대응시스템 부재에 대한 비판이 ‘정부 무능론’으로 확장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지난 2012년 총·대선 당시 이명박 정부의 민간인 불법사찰 논란 등에도 불구하고 압승을 거뒀던 정부여당은 이번 선거에서 지방권력 탈환에 실패,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과 당내 역학구도의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다만 세월호 참사로 ‘전패론’에 시달렸던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절반의 승리라는 반론도 나온다,
5일 0시 현재 개표 결과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대구(권영진)·울산(김기현)·경북(김관용)·경남(홍준표)·제주(원희룡) 등 5곳에서 당선을 확정지었다.
새정련은 서울(박원순) ·광주(윤장현) ·전북(송하진)·전남(이낙연) 등 당선됐다. 인천·대전·경기·충북 등은 초접전 양상이다.
앞서 4일 지상파 3사(KBS·MBC·SBS) 출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광역 17곳 중에서 5곳(대구·울산·경북·경남·제주)에서만 우세한 것으로 예측됐다.
새정치연합도 5곳(서울·광주·세종·전북·전남)에서 우세로 조사됐다. 나머지 7곳은 경합으로 분류됐다. 다만 경합 지역의 우열을 가릴 경우 야당 10곳(대전·경기·강원·충북·충남 추가), 여당 7곳(부산·인천 추가)으로 집계됐다.
이명박 정부가 레임덕에 시달리던 19대 총선에서조차 ‘박근혜 바람’으로 과반 이상을 차지한 새누리당은 박근혜 정부 출범 1년 6개월 만에 치러진 선거에서 견제론에 위상이 흔들리게 됐다.
특히 여당 텃밭인 대구에서조차 새정련 김부겸 후보의 득표율이 40%에 육박, TK(대구·경북) 아성이 무너지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1990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3당 합당 이전 정통적인 야도였던 부산의 경우도 무소속 오거돈 후보의 지지율이 40%대 후반 대에 육박, ‘박풍(박근혜 대통령 바람)’ 무용론이 흘러나오고 있다.
반면 야권은 전략공천 논란으로 무소속 돌풍에 직격탄을 맞았던 광주에서 윤장현 후보가 당선되면서 기사회생했다. 새정련이 호남 민심의 선택을 다시 받게 되면서 수권정당화로 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 셈이다.
이 같은 결과는 민심이 정부여당의 ‘정권 수호론’보다 야권의 ‘정부 견제론’에 힘을 실어준 결과로 분석된다. 또한 이번 선거에서 2030세대 대 4050세대 구도로 흐르면서 젊은 층이 야권을 선택한 것도 정부 견제론이 힘을 받는 데 한 몫한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 참사 과정에서 ‘정부 무능론’이 불거진 데다 이후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의 사퇴 등으로 청와대 내각 쇄신이 늦어지게 되면서 민심이 정부여당에 사실상 엘로우 카드를 내렸다는 얘기다.
‘선거의 여왕’으로 불린 박 대통령의 마지막 눈물에도 불구하고 민심이 정권 수호를 버림으로써 청와대의 국정운영 동력 약화는 물론 새누리당의 권력 구도의 재편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절반의 승리를 거둔 새정련은 박근혜 정부 2년차 때 제1 야당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새정련은 세월호 심판론 이외에 별다른 전략 없이 선거에 임해 향후 또다시 전략부재에 노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이 경우 당의 실질적 주주인 친노(친노무현)그룹과 비노(비노무현)그룹의 갈등이 증폭될 수밖에 없어 지도부 공동화 현상이 재연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새정련 한 관계자는 이날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세월호 참사로 유권자들이 야권에 다시 한 번 기회를 준 것 같다”면서 “이를 계기로 야권이 수권정당화로 가는 데 중요한 터닝 포인트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 견제론이 야권이 대승으로 이어지지 않아 사실상 여야 모두 민심의 심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특히 정부여당은 지방선거 전체 판세의 절반을 차지하는 서울과 보수 성향이 강한 충남에서 참패, 지방권력 탈환에 실패했다.
이는 세월호 참사 과정에서 드러난 정부의 재난대응시스템 부재에 대한 비판이 ‘정부 무능론’으로 확장된 결과로 분석된다.
다만 세월호 참사로 ‘전패론’에 시달렸던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절반의 승리라는 반론도 나온다,
5일 0시 현재 개표 결과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대구(권영진)·울산(김기현)·경북(김관용)·경남(홍준표)·제주(원희룡) 등 5곳에서 당선을 확정지었다.
새정련은 서울(박원순) ·광주(윤장현) ·전북(송하진)·전남(이낙연) 등 당선됐다. 인천·대전·경기·충북 등은 초접전 양상이다.
앞서 4일 지상파 3사(KBS·MBC·SBS) 출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광역 17곳 중에서 5곳(대구·울산·경북·경남·제주)에서만 우세한 것으로 예측됐다.
새정치연합도 5곳(서울·광주·세종·전북·전남)에서 우세로 조사됐다. 나머지 7곳은 경합으로 분류됐다. 다만 경합 지역의 우열을 가릴 경우 야당 10곳(대전·경기·강원·충북·충남 추가), 여당 7곳(부산·인천 추가)으로 집계됐다.
이명박 정부가 레임덕에 시달리던 19대 총선에서조차 ‘박근혜 바람’으로 과반 이상을 차지한 새누리당은 박근혜 정부 출범 1년 6개월 만에 치러진 선거에서 견제론에 위상이 흔들리게 됐다.
특히 여당 텃밭인 대구에서조차 새정련 김부겸 후보의 득표율이 40%에 육박, TK(대구·경북) 아성이 무너지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1990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3당 합당 이전 정통적인 야도였던 부산의 경우도 무소속 오거돈 후보의 지지율이 40%대 후반 대에 육박, ‘박풍(박근혜 대통령 바람)’ 무용론이 흘러나오고 있다.
반면 야권은 전략공천 논란으로 무소속 돌풍에 직격탄을 맞았던 광주에서 윤장현 후보가 당선되면서 기사회생했다. 새정련이 호남 민심의 선택을 다시 받게 되면서 수권정당화로 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 셈이다.
이 같은 결과는 민심이 정부여당의 ‘정권 수호론’보다 야권의 ‘정부 견제론’에 힘을 실어준 결과로 분석된다. 또한 이번 선거에서 2030세대 대 4050세대 구도로 흐르면서 젊은 층이 야권을 선택한 것도 정부 견제론이 힘을 받는 데 한 몫한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 참사 과정에서 ‘정부 무능론’이 불거진 데다 이후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의 사퇴 등으로 청와대 내각 쇄신이 늦어지게 되면서 민심이 정부여당에 사실상 엘로우 카드를 내렸다는 얘기다.
‘선거의 여왕’으로 불린 박 대통령의 마지막 눈물에도 불구하고 민심이 정권 수호를 버림으로써 청와대의 국정운영 동력 약화는 물론 새누리당의 권력 구도의 재편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절반의 승리를 거둔 새정련은 박근혜 정부 2년차 때 제1 야당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새정련은 세월호 심판론 이외에 별다른 전략 없이 선거에 임해 향후 또다시 전략부재에 노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이 경우 당의 실질적 주주인 친노(친노무현)그룹과 비노(비노무현)그룹의 갈등이 증폭될 수밖에 없어 지도부 공동화 현상이 재연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새정련 한 관계자는 이날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세월호 참사로 유권자들이 야권에 다시 한 번 기회를 준 것 같다”면서 “이를 계기로 야권이 수권정당화로 가는 데 중요한 터닝 포인트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