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공급은 2만7163가구로 지난해(1만6223가구)보다 67.4% 늘었다. 반면 지방은 2만1544가구로 지난해(2만1687가구)보다 오히려 0.7% 줄었다.
지역별 공급은 경기가 1만5천198가구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 1만1445가구 △경북 4044가구 △부산 2998가구 △대구 2978가구 △충남 2181가구 △전남 1954가구 △충북 1772가구 △경남 1482가구 △세종 1456가구 △광주 1410가구 △제주 622가구 △인천 520가구 △전북 382가구 △강원 265가구 등 순이었다.
사업 유형별로는 단순도급이 1만7901가구, 재개발·재건축이 1만6989가구, 자체분양이 9915가구, 임대가 3902가구로 집계됐다.
또 6·4 지방선거와 월드컵 개막을 앞두고 건설사들이 분양을 앞당긴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했다.
유인상 상근부회장은 “최근 2·26 전·월세 임대소득 선진화 방안의 영향으로 주택거래가 줄어들고 있는데다 내수 부진까지 더해져 신규 분양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며 “임대소득 선진화 방안 보완, 민영주택 수도권 1순위 청약자격 요건 완화 등 정부의 선제적인 대응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6/03/2014060315370328935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