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5/27/20140527193717447426.jpg)
드로 구질
골퍼는 누구나 드로나 페이드 중에서 한 가지 구질을 가지고 있다.
드로는 임팩트 후 볼의 궤적이 타깃의 우측을 향해 날아가다가 좌측으로 휘어지면서 낙하할 때는 결국 타깃에 떨어지는 구질을 일컫는다. 페이드는 이와 정반대로, 임팩트 후에는 타깃의 좌측을 향해 날아가다가 우측으로 휘어지면서 결국 타깃에 볼이 떨어지는 구질을 말한다.
투어 프로들은 페이드 구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볼의 컨트롤이 더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작 골퍼 본인은 자신의 구질이 무엇인지 별 생각없이 그냥 스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상태에서는 문제가 생겼을 때 원인 파악이 정확히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우측으로 휘어지는 도그레그 홀을 생각해 보자. 드로 구질의 골퍼는 이런 도그레그 홀에서는 좌측으로 OB를 낼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OB를 내고 나면 자신의 드라이버 샷에 대한 자신감을 상실하게 되고 그 후로는 제대로 된 샷을 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러나 이것은 코스 공략의 전략이 잘 못된 것이지 스윙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알아야 한다.
드로 구질의 골퍼가 우측 도그레그 홀을 만나면 심리적 압박을 받게 된다. 페어웨이를 보고 치기도 불안하고 우측 숲을 겨냥해서 쳤다가 드로가 걸리지 않을 수도 있으니 샷에 대한 확신이 서지 않는 상태로 어드레스를 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는 실패할 확률이 급격히 높아진다. 그래서 이럴 때는 페이드를 구사하는 것이 심리적으로 안전한 전략이다.
이 때 도그레그를 따라 페이드를 쳐서 거리 확보를 확실히 하겠다는 욕심은 절대 금물이다. 우측 도그레그 홀에서 페이드가 필요한 이유는 심리적 안정을 위한 것임을 절대 명심해야 한다.
그래서 티잉 그라운드 우측에서 페어웨이 좌측을 향해 페이드를 쳐서 볼이 페어웨이 한 가운데에 안착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물론 거리는 조금 손해 본다.
그런데 골프 코스 디자이너도 이런 상황을 충분히 감안하고 있다. 그래서 대부분의 경우 오른쪽 도그레그 홀은 왼쪽 도그레그 홀보다 홀의 전장이 조금 짧다. 그러니 거리 손해는 걱정하지 말고 페이드를 쳐야 한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5/27/20140527193826502709.jpg)
페이드 구질
페이드를 치려면 ‘아웃-인’ 궤적으로 스윙을 해야 한다. 그런데 이것은 골퍼들이 처음 클럽을 잡고 볼을 칠 때 자연스럽게 생기는 스윙 궤적이다. 다시 말해서 아웃-인 스윙궤적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인간의 몸 동작이라는 것이다.
드로 구질을 위해서 ‘인-아웃’ 궤적을 만드는 것은 굉장한 노력과 인내가 필요하다. 그래서 평소 구질이 페이드인 골퍼가 좌측 도그레그 홀을 만났다고 해서 드로를 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드로는 치고 싶다고 쉽게 구사할 수 있는 구질이 아니기 때문이다.
결론을 말하자면, 드로 구질의 골퍼는 페이드 구질을 치는 법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페이드 구질의 골퍼는 그냥 페이드만 치면 된다.
여기서 자연스러운 유추가 가능하다. 드로 구질은 레슨을 통해서 만들어지고, 페이드 구질의 골퍼는 독학파가 많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5/27/20140527193907238826.jpg)
yjcho2@hot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