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국유자산 투자설명회, 참석자만 1000여 명…투자열기 '후끈'

2014-05-20 16:55
  • 글자크기 설정

▲ 홍영만 캠코 사장이 20일 코엑스에서 열린 국가자산 투자설명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1600여명의 사람들로 컨퍼런스 홀이 가득 찼다. 일부는 필기를 하면서 스크린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몇몇은 휴대폰으로 연신 사진을 찍기도 했다.

20일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주최로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국가자산 투자설명회는 최근 부쩍 높아진 자산투자에 대한 관심과 열기로 뜨거웠다.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가 후원하는 투자설명회에서는 캠코가 관리하고 있는 지방이전 공공기관 종전부동산, 국유부동산, 국유증권, 압류재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물건 등 총 132건에 대한 투자정보가 소개됐다. 총 가치만 3조9311억원에 달한다.
대부분 행정목적으로 사용되는 국유재산은 우리나라 국토의 24%를 차지한다. 하지만 행정목적으로 수명이 다한 건물, 토지 등은 일반재산으로 전환해 국민들에게 매각 또는 대부를 하고 있다. 캠코는 이러한 일반재산을 위탁해 전담 관리한다. 지난 3월 말 현재 19조원 규모의 총 62만 필지를 관리중이며, 지난해 1만6000건의 국유재산을 매각했고 대부는 15만4000건이 이뤄졌다. 1997년 관련업무 개시 이후 지난해 말까지 캠코가 올린 국고수입만 총 5조5000억원에 달한다.

설명회에는 인터넷으로 사전에 신청한 개인 및 기관투자자 1600여명이 몰렸다. 홍영만 캠코 사장은 축사를 통해 "국유재산을 포함한 공공부문 자산의 가장 큰 장점은 믿고 거래할 수 있다는 점과 공정한 감정평가를 거쳐 가격에 거품이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설명회는 김현아 건설산업연구원 실장의 '2014년 부동산시장 전망과 국유자산 활용방안'에 대한 특강과 함께 주요 자산에 대한 소개로 이어졌다. 소개된 자산은 국유부동산이 47건으로 가장 많았고 압류부동산과 종전부동산이 각각 39건과 35건, 국유증권과 PF물건이 각각 8건과 3건이었다.

종전부동산은 혁신도시 등 지방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들이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을 뜻한다. 캠코는 지난 2011년부터 농수산식품연수원, 우정사업정보센터 등 3000억원 규모의 종전부동산 7건을 인수했다. 올해는 매입대상을 발굴해 추가로 인수할 계획이다.

현재 서울과 경기지역 등 매물로 나온 종전부동산만 53곳이다. 손우준 국토교통부 과장은 "혁신도시 등 공공기관 이전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부동산을 적시에 매각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정부의 '종전부동산 매각 활성화 방안'에 따라 용도변경, 규제완화, 금리 보전 등 다양한 지원을 하는만큼 상반기 이후 실질적 효과가 가시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투자자들의 눈을 사로잡은 것은 매물로 나온 부동산 현장을 담은 동영상이었다. 캠코 측은 직접 촬영한 현장 영상을 보여주면서 주요 매물의 활용도와 감정가 및 공시가격 등을 소개했다.
 

▲ 최지웅 캠코 개발금융부 과장이 매물로 나온 종전부동산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기업의 생산현장과 사옥 사진을 곁들인 국유증권(국세물납증권) 소개도 이어졌다. 황인영 캠코 투자금융부 과장은 국유증권 투자의 장점에 대해 "지분율이 높아 경영권 확보가 가능하고 기업공개(IPO)시 상장 차익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 물건에 대한 소개가 끝난 후 행사장에서는 자산유형별로 1대1 개별상담도 이뤄졌다. 설명회에 참석한 곽범국 기재부 국고국장은 "국유재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국유재산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중이며, 국민의 소규모 국유재산에 대한 이용기회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캠코는 올해 설명회를 한차례 더 열 예정이다. 캠코 관계자는 "지난해 설명회가 호응이 높아 올해는 연간 2회로 개최횟수를 늘리고 참석자 숫자도 확대했다"면서 "앞으로도 국가자산 투자 활성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