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에서는 김 행장에 대한 금감원의 사퇴 압박에 대해 "또다른 형태의 관치금융"이라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또 김 행장의 중징계는 명분이 약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승유 전 하나금융그룹 회장 역시 금감원에 불쾌감을 내비쳤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 투자 및 손실 문제로 문책경고 상당의 중징계를 받은 김 행장이 임기를 끝까지 채우겠다는 입장을 밝히자 금감원은 제재심의위원회 결정 내용을 홈페이지에 조기 게재했다.
특정 금융사 최고경영자의 제재 내용을 미리 공개한 것은 처음으로, 사실상 금감원이 김 행장에게 사퇴를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같은 금감원의 사퇴 압박에 대해 관치금융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김 행장에 대한 중징계 처분은 물론 사퇴 압박 역시 명분이 약하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금융권 한 고위관계자는 "김 행장의 투자 규모는 황영기 전 KB금융지주 회장과 강정원 전 국민은행장이 중징계를 받았을 때 문제가 됐던 돈의 규모보다 훨씬 적은데도 과연 김 행장이 중징계를 받아야 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윤용로 전 외환은행장이 연임에 실패하자 금융당국이 김 행장에게 보복성 징계를 내린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자칫 지난해 이장호 전 BS금융지주 회장이 금감원의 압박을 받고 사퇴했던 것처럼 또 한차례 관치금융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도 높다.
김승유 전 회장 역시 금감원에 강한 불쾌감을 내비쳤다. 그는 "나에 대한 징계는 어차피 처음부터 (금감원) 마음대로 하라는 식으로 놓아두었지만 행장까지 그렇게 하는 것에 대해서는 불만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금감원이 동일 사안을 두고 반복적으로 검사한 데 이어 민간 금융회사의 최고경영자에게 대놓고 퇴진을 압박하는 데는 뭔가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고 덧붙였다.
물론 김 행장이 CEO로서 적절치 못한 행동을 했다면 경영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CEO로서 잘못을 했다면 사퇴를 하는 게 적절한 처신인데도 불구하고 임기를 채우겠다는 것은 지나친 욕심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사퇴할 것을 요구하는 중징계를 내렸지만 이에 응하지 않는다면 금감원 입장에서도 압박을 할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