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장슬기 기자 = 보험사 직원들의 비리 등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특히 직원들의 도덕적 해이로 인한 사건이 빈번해지면서 보험사 내부통제가 허술하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가 지난해 12월 말 부산 송도지점에서 발생한 보험설계사의 고객 돈 횡령사건을 자체 점검한 결과 고객 9명이 4억2000만원의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한화생명으로부터 내부 직원 B씨가 지인에게 허위 보증서류를 만들어 줘 이 서류를 근거로 대부업체에서 30억원을 대출했다 적발됐다.
이 뿐만이 아니다. 지난해에는 삼성생명과 교보생명의 보험설계사도 상품판매를 대가로 리베이트를 제공한 정황이 포착돼 논란이 된 바 있다.
당시 경찰 조사에 따르면 이들 설계사는 보험왕 출신으로 2006년부터 2012년까지 특정 고객에게 과도한 편의를 제공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들은 실적 경쟁을 위해 과도한 리베이트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보험 해지시에도 고객이 맡겨둔 도장 등으로 직접 처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여기에다 최근에는 카드사에 이어 보험사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도 잇따르고 있다. 보험사와 위탁 관계에 있는 보험대리점에서 고객 정보를 불법 유통한 것이다. 유출 내역은 고객명,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보험 계약 정보가 포함돼 있다.
농협생명의 경우 고객 정보 35만건이 외주업체 직원에게 유출됐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8∼16일 농협생명에 대한 경영실태 평가 현장점검 과정에서 이런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농협생명은 지난 1월 13∼15일 자체 점검에서 외주업체 직원들의 개인 노트북에 35만건의 고객 개인정보가 저장돼 있는 사실을 발견했지만 금감원에 보고하지 않고 있다가 이번에 관련 문건이 적발됐다.
농협생명은 합법적인 범위에서 외주직원과 정보를 공유했고 선제적 대응으로 정보 삭제 등 문제를 해결했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보험사들에 각종 비리가 난무하자 내부통제가 허술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금감원은 손해보험사 2곳과 생명보험사 2곳 등을 대상으로 내부통제 현황 등 검사에 착수했다. 이밖에도 올해 보험사에 대한 불시 검사 등을 통해 엄격히 단속할 방침이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이같은 사건은 시스템의 문제라기보다는 인적 문제인 경우가 많다"며 "특히 보험설계사나 보험대리점에 대한 문제는 일일이 확인하는 데 한계가 있어 통제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보험사 뿐만 아니라 은행 등 전 권역을 대상으로 집중 검사해 내부통제가 미흡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엄중 처벌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