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기, 군사분계선 이북 15∼20km 北서 보내"…北 전방부대에 실전 배치된 듯

2014-04-08 09:46
  • 글자크기 설정

"공격용 개조땐 대전∼울진 타격 가능"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최근 잇따라 발견된 북한제 추정 소형 무인기는 군사분계선(MDL)에서 15∼20㎞ 떨어진 북한군 전방부대에서 날려 보낸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6일 강원도 삼척의 한 야산에서 북한제 추정 무인기가 주민의 신고로 발견됐다. 사진은 최초신고자가 발견 당시 촬영한 사진. (사진 제공=국방부)

무인기 중앙합동조사에 참여한 한 정부 관계자는 8일 "파주와 백령도, 삼척에 떨어진 소형 무인기는 MDL에서 15∼20㎞ 떨어진 북한지역에서 날아온 것으로 종합적인 평가가 내려졌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는 중앙합동조사단에 참여한 군과 민간 전문가들이 무인기 엔진과 연료통, 기체무게 등을 종합적으로 계산한 결과"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3대의 무인기에 장착된 인공위성위치정보(GPS) 코드에 입력된 복귀 좌표 해독이 막바지 단계에 있다"며 "무인기의 복귀 좌표 해독이 끝나면 정확한 이륙 지역이 나오겠지만 북한군 전방부대에서 보낸 것이 확실하다"고 설명했다.

군 당국은 이번에 우리 측 지역에서 추락한 무인기들이 북한군 전방부대에 이미 실전 배치된 것으로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도 최근 "이번에 발견된 무인기의 비행 목적은 단순 장비운용 시험이 아니라 군사적 목적이 있는 정찰 활동으로 판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 파주와 백령도, 삼척에 추락한 무인기가 공격용으로 개조되면 대전∼울진 축선까지의 군부대와 주요 국가전략 시설을 타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관계자는 "추락한 무인기가 정찰용으로만 이용되면 평택∼원주 축선까지 정찰비행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됐다"며 "이를 공격용으로 개조하면 울진 원전까지 타격 반경에 들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군은 이런 분석 결과를 9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보고할 것으로 알려졌다.

군의 한 관계자는 "북한은 무인기를 1000대 이상 보유하고 있고, 특히 지난해 3월 공개된 자폭형 무인타격기를 100여대 실전 배치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북한의 무인기를 실제적인 위협으로 평가하고 대책을 수립 중"이라고 전했다.

길이 5.8m, 폭 5.6m의 자폭형 무인타격기의 작전 반경은 600∼800㎞에 달하고 최대 속력은 시속 400㎞에 이를 것으로 군은 분석하고 있다.

국방부는 이르면 10일께 북한 무인기 종합분석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