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지난달 26일 해외건설진흥위원회에서 ‘2014년도 해외건설 추진계획’을 심의·의결하고 대외경제장관회의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해외건설 시장은 국내의 침체와 맞물리면서 건설사들의 새로운 먹거리 시장으로 각광 받고 있다.
국내 건설투자·수주는 2008년 이후 매년 감소추세다. 특히 올해 건설사들의 회사채 만기도래가 6조7000억원 규모로 유동성 부족에 따른 부실화도 우려된다.
반면 올해 세계건설시장은 전년 대비 9.1% 성장해 10조 달러를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2017년까지 연평균 8.5% 성장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국내 건설사들은 적극 해외진출을 추진해왔고, 지난해 해외건설 수주액은 따라 역대 둘째 수준인 652억 달러를 기록하는 등 양적 성장세를 이어왔다.
단 중동 수주 비중이 2011년 50%, 2012년 57%, 지난해 40%에 달하는 등 높고 공종별로도 플랜트가 최근 3년간 61~73%를 차지하는 등 편중된 양상을 보였다. 중소건설업체의 수주액은 2009년 55억 달러, 2011년 48억 달러, 지난해 35억 달러로 전체 수주에서 비중이 작을 뿐 아니라 수주액도 감소세다.
국내업체의 현장관리능력이 미흡해 리스크가 발생하고 과당 수주경쟁 등으로 수익성 문제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우리기업의 해외건설사업 수주기회 확대를 지원하고 리스크 관리를 지원해 수익성을 높이는 등 해외건설의 질적 내실화를 다질 수 있는 기반을 구축키로 했다.
앞서 지난해 4월에는 박근혜 대통령 지시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진출과 정책금융을 활용한 해외건설 활성화 등 범정부적 금융·정보·인력지원 기반을 마련했다.
또 메가 프로젝트 수주 지원을 위해 총리와 장·차관이 함께 한 고위급 수주지원단을 8회 파견했다. 개발도상국 수주기회를 선점하기 위해 도시·교통·수자원 분야 마스터플랜 수립을 지원하고 고위급 초청연수도 새로 추진했다.
국토부 해외건설정책과 관계자는 “중동 지역 대형플랜트 발주가 본격화도돼 수주는 증가하겠지만 중남미·아프리카 경쟁 심화, 발주지연 등 변수도 있다”며 “수주확대라는 양적 성장과 수익성을 높이는 산업의 질적 내실화를 함께 지원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