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4/02/20140402112651909758.jpg)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왼쪽)·안철수 공동대표. [사진=새정치민주연합 제공]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야권 통합신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은 2일 화학적 결합의 최대 난관인 6·4 지방선거 공천 경선 룰 논의를 본격화한다.
당 내부에서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 수위를 놓고 파열음이 나오는 상황에서 경선 룰 논의마저 충돌 양상을 빚을 경우 자중지란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앞서 당내 강경파 의원들로 구성된 ‘혁신모임’ 소속 의원 20여 명은 1일 국회 본관 로텐더홀에서 기초공천 폐지 입법 관철을 위한 연좌농성에 돌입했다. 무공천을 주장하는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와 엇박자를 내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초공천 폐지를 둘러싼 당 내홍과 경선 룰 논의가 계파 갈등 해소의 리트머스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날 오후 2시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지방선거 경선 룰 결정을 위한 의견 수렴에 나선다.
당 지도부는 지난달 31일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100% 여론조사 △당원투표 50%+여론조사 50% △배심원단의 토론 후 현장투표(공론조사) 50%+여론조사 50% 등 세 가지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안 대표 측 인사들이 출마한 지역은 100% 여론조사와 공론조사 방식으로 하되, 구 민주당 출신끼리 맞붙는 지역은 당원투표 50%+여론조사 50%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원이 없는 안 대표 측근들을 배려하기 위한 조치다.
당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는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세부사항을 논의한 뒤 이날 의총에서 보고를 할 예정이다. 이후 최고위에 회부해 이르면 이날 중으로 경선 룰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의 경선 룰 논의가 순항할지는 미지수다. 구 민주당 측 인사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서다.
원혜영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당의 공직후보자 선출 과정에 있어 여론조사는 의사결정의 참고자료가 돼야지, 최종 결정수단이 돼선 안 된다”며 여론조사 배제를 주장했다. 그는 대안으로 △권역별 국민참여 순회경선 △현장 배심원 투표 등을 제안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가 공천 룰 등의 난관을 어떻게 극복할지 주목된다.
당 내부에서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 수위를 놓고 파열음이 나오는 상황에서 경선 룰 논의마저 충돌 양상을 빚을 경우 자중지란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앞서 당내 강경파 의원들로 구성된 ‘혁신모임’ 소속 의원 20여 명은 1일 국회 본관 로텐더홀에서 기초공천 폐지 입법 관철을 위한 연좌농성에 돌입했다. 무공천을 주장하는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와 엇박자를 내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초공천 폐지를 둘러싼 당 내홍과 경선 룰 논의가 계파 갈등 해소의 리트머스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날 오후 2시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지방선거 경선 룰 결정을 위한 의견 수렴에 나선다.
당 지도부는 지난달 31일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100% 여론조사 △당원투표 50%+여론조사 50% △배심원단의 토론 후 현장투표(공론조사) 50%+여론조사 50% 등 세 가지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안 대표 측 인사들이 출마한 지역은 100% 여론조사와 공론조사 방식으로 하되, 구 민주당 출신끼리 맞붙는 지역은 당원투표 50%+여론조사 50%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원이 없는 안 대표 측근들을 배려하기 위한 조치다.
당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는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세부사항을 논의한 뒤 이날 의총에서 보고를 할 예정이다. 이후 최고위에 회부해 이르면 이날 중으로 경선 룰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의 경선 룰 논의가 순항할지는 미지수다. 구 민주당 측 인사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서다.
원혜영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당의 공직후보자 선출 과정에 있어 여론조사는 의사결정의 참고자료가 돼야지, 최종 결정수단이 돼선 안 된다”며 여론조사 배제를 주장했다. 그는 대안으로 △권역별 국민참여 순회경선 △현장 배심원 투표 등을 제안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가 공천 룰 등의 난관을 어떻게 극복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