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 조직문화 쇄신 위원회(이하 쇄신 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조직문화 쇄신안을 2일 발표했다.
KB금융은 지난해부터 그룹 내에서 발생한 일련의 사태와 관련,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1월 쇄신 위원회를 발족한 바 있다.
쇄신 위원회는 김정탁 성균관대 교수를 위원장으로 내부 경영진 및 외부 전문가를 포함, 총 9명의 위원으로 구성됐다. 이번에 발표한 쇄신안은 △HR △내부통제 △기업문화 등으로 구분된다.
또 공모시장을 상시 운영해 직원들 스스로 경력 및 장점을 관리하도록 하고, 적재적소 인력배치가 가능하도록 했다.
해외점포 등 주요 선호부서에 대해선 내부공모를 추진하고 준법감시인, 글로벌사업부장 등 전문성이 필요한 보직에 대해선 외부공모를 실시할 방침이다.
내부통제 쇄신을 위해선 감사실명제, 수검부점의 검사역 역평가 방법 등을 도입한다. 감사실명제를 도입함으로써 감사업무의 무한책임을 유도하고, 수검부점의 검사역 역평가 실시로 피수검자가 수용가능한 합리적인 감사가 이뤄지도록 한 것이다.
금융사고 예방 아이디어를 공모하고, 윤리 준법지수도 도입한다. 아울러 내부 제보 활성화를 위해 포상금을 5억원에서 10억원으로 확대했다. 지주사와 은행에 정보보호본부를 신설해 개인정보 보호도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임영록 KB금융 회장은 "최근 회사에 불어 닥친 일련의 어려움들은 더 나은 KB로 도약하기 위한 값진 경험"이라며 "전 임직원은 이번 위기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 보다 건강하고 투명한 조직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 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