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현대그룹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이번 주부터 실사를 마친 현대증권 매각을 본격 추진한다.
이를 위해 산은 인수합병(M&A)부가 직접 주관사로 나서 인수자를 찾아 나선다.
매각 대상인 현대증권 지분은 현대상선이 보유한 25.9% 지분 등 총 36%가량이다. 여기에 현대증권이 100% 보유한 현대자산운용과 현대저축은행도 매각 대상에 포함된다.
금융권에서는 당초 산은이 사모펀드(PEF)를 조성해 현대증권 지분을 인수하는 방식을 검토했으나 지분 인수 후 6개월간 매각이 불가능해 공개매각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 때문에 매각 방식을 선회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현대그룹 입장에서는 최근 주요 계열사들의 신용등급이 투기등급인 'BB+'로 떨어지는 등 현대증권의 조속한 매각이 필요한 상황이다. 신용평가사들은 현대그룹의 자구계획 성과에 따라 등급 추가 강당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현대상선의 부채비율이 1000%를 넘어 1년 내 만기가 도래하는 단기 차입금 3조1000억원 가운데 일부 투자자들이 조기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상황을 맞이했다.
산은은 조만간 현대증권 인수에 관심이 있는 기업과 기관투자가를 만나거나 투자의향서를 발송해 투자자를 모집할 예정이다.
이 때 현대증권에 관심이 있는 금융기관이나 현대차그룹, 현대중공업그룹 등 범 현대그룹 계열사들에도 투자의향을 타진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현대증권이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선친인 고(故) 정주영 명예회장이 시작한 사업인 데다 '현대' 상징성을 고려해 범현대그룹 계열사들이 인수전에 뛰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