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경기지사 후보들 '같은 듯 다른' 교통복지 공약 경쟁

2014-03-25 16:41
  • 글자크기 설정

야권 '무상버스' 공약 일제히 비난하면서도 제각기 차별화된 정책 제시

남경필 '버스준공영제', 정병국‧원유철 '교통체증 해소', 김영선 '인프라 구축'

아주경제 이병욱 기자 =  6‧4 지방선거 새누리당 경기지사 후보들이 교통복지 공약을 잇달아 제시하며 본격적인 정책 경쟁에 나서고 있다.

서울로 출‧퇴근하는 경기도민이 100만명을 웃도는 상황에서 유권자가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대중교통 개선안이 표심을 잡을 수 있다는 정책적 판단에 따른 것이다.

특히 여당 후보들은 야권 후보인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의 ‘무상버스’ 공약을 ‘실현 가능성 없는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한목소리로 비난하면서도 제각기 차별화된 공약으로 이목을 끌고 있다.

우선 각종 여론조사에서 적합도 1위를 달리고 있는 남경필 의원은 무상버스 공약에 맞서 ‘버스준공영제’를 들고 나왔다.

남 의원은 25일 불교방송 ‘박경수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경기도민이 요구하는 것은 서비스를 개선해 달라는 거지 공짜가 아니다”라며 “버스의 경우는 서비스 개선을 통한 공공성 강화가 먼저”라고 주장했다.

남 의원은 “(무상버스는) 돈은 엄청나게 들고 효과는 아주 미미한데다가 택시 종사자들과의 갈등까지 우려되는 현실성 없는 정책”이라고 비난한 뒤 “제 공약은 승객이 많은 시간에 수익을 따지지 않고 버스운행을 더 할 수 있는 제도로 서비스를 확충하는 게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정병국 의원과 원유철 의원은 교통체증을 해소해 출퇴근 시간을 단축하는 구조적 문제 해결에 방점을 찍었다.

정 의원은 지난 23일 기자들과 만나 “공짜 대중교통에는 승객이 몰려 더 혼잡해지는 게 당연하지 않나”라며 “김 전 교육감은 무상버스가 나오면 도민이 자가용 차량을 안 몰 것이라고 하는데, 오히려 혼잡하고 밀리는 버스가 싫어 자기 차를 타고 나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민이 서울로 출퇴근하지 않도록 좋은 일자리를 경기도에 만드는 한편, 서울로 출퇴근하는 도민을 위해 ‘수도권 광역교통청’을 신설해 서울과 경기, 인천을 묶는 중앙정부 차원의 통합관리가 필요하다는 게 정 의원의 구상이다.

반면 원 의원은 즉시 효과를 낼 수 있는 단기적 공약을 제시해 비교적 장기적 관점으로 접근한 정 의원과 차별화를 꾀했다.

원 의원은 지난 18일 “GTX 등 대형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는 장기적인 차원에서의 해법으로, 당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 해결법이 필요하다”며 교통의 흐름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경기교통 모델’ 도입을 약속했다.

아울러 △출‧퇴근 시간대 이층버스 도입 △대학 통학버스나 관광버스 등 도내 유휴 민간차량 투입 △광역버스 집중 배차 등을 제안했다.

후보들 중 가장 먼저 교통공약을 발표한 김영선 전 의원은 △GTX 노선 연장 △경기순환철도망 건설 △동북부권 제3순환축 고속도로 건설 △신속급행도로 설치 등 인프라 확충 위주의 대안을 제시했다.

김 전 의원은 “경기 동북부 지역이나 소외지는 오히려 교통 혜택이 적다. 더 촘촘한 교통망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