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당국자는 25일 기자들과 만나 "(관광객) 신변안전 보장을 북한이 다 오케이한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그(금강산 관광객 피격사건) 이후 발생한 상황이 있어 그런 것까지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언급은 북핵 문제의 해결 없이는 북한에 대량의 현금이 송금되는 금강산 관광 재개가 어려울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전날 발간한 통일백서를 통해 "앞으로 금강산 관광이 우리 국민의 우려를 해소하고 발전적 방향에서 재개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비핵화를 비롯해 천안함 피격 사건에 대한 북한의 책임 있는 조치와 비핵화 등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행사 추가 개최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를 걸고 넘어질 가능성이 높아, 관광 재개를 둘러싼 남북 간 줄다리기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현재 우리 정부는 인도적 문제인 이산가족 상봉 행사 재개 문제에, 북측은 외화 벌이의 통로인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에 각각 사활을 걸고 있다.
한편 정부 당국자는 나진-하산 프로젝트와 관련, 코레일ㆍ포스코 등으로 구성된 우리 기업 컨소시엄이 1차 현장 실사에 이어 2차 현장 실사를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지난 5일 한 강연에서 "지난 2월 초순에 우리 측 기업이 나선 지역 실사를 다녀왔는데 이게 잘 이뤄지면 금년 9월쯤에 아마 큰 진전이 있을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