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24/20140324235855575620.jpg)
아주경제 윤소 기자 = 이충재 행복청장은 행복도시의 지속적인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올해를 자족기능 유치 원년으로 내걸었다. 일부에서는 행복도시건설청의 업무가 올해 말이면 상당 부분 완료되기 때문에 내년부터는 조직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행복도시 조성은 지금까지 공공부문이 주도했다. 행복도시 조성에 투입되는 예산은 2030년까지 모두 22조 5000억 원. 정부 부담이 8조 5000억 원이고 LH 부담분이 14조 원이다. 내년이면 정부 투자분의 71%가 집행된다. LH 부담분도 내년이면 전체 78.5%에 해당하는 10조 9900억 원이 투입된다.
3단계 정부세종청사가 완료되기 이전에 행복도시건설청의 공공청사기획과 등 일부 한시적으로 설치된 조직은 자연적으로 폐지될 예정이다. 그러나 행복도시건설청은 기관 이전이 모두 완료되더라도 복합커뮤티니센터, 대통령기록관, 아트센터, 박물관단지 등 굵직한 공공시설이 건립될 계획이어서 조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오히려 한시기구가 아닌 정규조직으로 인정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공공청사기획과의 존치 여부 결정과 함께 행복도시건설청은 정부청사 3단계 이전 완료와 함께 새로운 진용으로 재편될 전망이다. 행복도시 건설이 완료되는 시점은 2030년으로 아직 16년이라는 기간이 남았고 공공부문 투자는 내년이면 70-80%를 집행했는데도 민간투자가 뚜렷하게 활기를 띠지 못해 투자 유치와 자족기능 확충에 총력을 기울여야 하기 때문이다. 향후 2년 이내에 민간투자가 유입되지 못하면 행복도시는 공무원만 활동하는 정체된 도시로 전락할 우려를 사고 있다.
행복도시건설청은 투자유치 기능을 더욱 강화해 IT, BT, NT 등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대학, 병원, 기업을 끌어들여 도시의 성장동력이 되도록 할 방침이다.
홍순민 행복도시건설청 투자유치팀장은 "행복도시가 활성화돼야 주변지역이 동반성장하므로 난관을 극복하고 우량 기업 등을 끌어들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