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몬드 사기' CNK대표 귀국… "2011년 무슨 일이?'

2014-03-23 16:43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양종곤 기자 = 일명 '다이아몬드 사기' 의혹을 받고 있는 오덕균 씨앤케이인터내셔널(이하 CNK) 대표가 2년 넘는 해외 체류를 마치고 23일 귀국했다.

오 대표는 지난 2012년 1월 증권선물위원회로부터 검찰에 고발당한 상태다. 오 대표가 고발되기까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2년간 일련의 CNK 기록을 되짚어본다.

CNK는 과거 '코코엔터프라이즈'였다. 지난 2010년 말 자회사인 씨앤케이마이닝의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 승인 소식 기대감에 한달 새 '9번의 상한가'라는 진기록을 연출했다. 당시 최고점은 1만 6100원으로 이전까지 주가는 3000원대였다.

이듬해인 2011년 3월에 '코코엔터'는 현재 사명인 CNK로 사명을 변경했다. 당시 사측은 기존 사업 대신 광산 개발 사업을 보다 부각하기 위해서 사명을 변경했다고 설명했다.

증권가에서는 CNK의 다이아몬드 매장량에 대해 계속 의구심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사측은 당시 외교통상부의 보도자료, 유앤개발계획 조사 등을 반박 근거로 내세웠다.

같은 해 6월 외교부가 직접 나서 CNK 다이아몬드 개발권의 사실 여부를 확인해줬다. 이 소식이 증권가에 알려진 직후 한 동안 지지부진했던 주가는 다시 상한가를 치솟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의혹이 여전히 가라앉지 않자, 같은 해 8월 CNK는 기업설명회를 열고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 사업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당시 오 대표는 "카메룬 정부에서 받은 광산의 다이아몬드 매장량을 지질학적으로 인정받게 됐다"며 "광산 개발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 달 뒤인, 9월 열린 국정감사에서 다이아몬드 매장량이 과장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당시 김재균 민주당 의원은 "CNK가 제출한 최초 탐사보고서에서 1800만 캐럿이 매장됐다"고 주장했다. 추정 매장량이 CNK 주장보다 20배 이상 부풀려진 셈이다.

감사원은 같은 해 10월 CNK 조사 방침을 밝혔다. 외교부와 총리실 직원들이 내부정보를 이용해 불법 주식거래를 했는지 등을 조사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듬해인 2012년 1월 증선위는 불공정거래 혐의로 오 대표를 비롯해 6인을 검찰에 고발했다. 증선위는 오 대표가 다이아몬드 매장량을 부풀린 보도자료로 주가를 올린 뒤 지분을 매각해 900억 원대 부당이익을 올렸다고 결론내렸다. 

검찰은 CNK 수사와 관련, 사상 첫 외교부 압수수색을 실시하기도 했다. 검찰은 작년 2월 CNK의 주가조작에 연루된 외교부 고위 인사 등을 불구속 기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