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20/20140320051627997381.jpg)
지적재조사 기념우표 2종. [제공=국토교통부]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국토교통부는 지적재조사의 역사적 의미를 공유하고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2종, 총 123만장의 기념우표를 발행했다고 20일 밝혔다.
국토부 추진 정책이 기념우표로 발행된 사례는 이번이 네번째로, 일제 강점기부터 100년 간 사용 중인 종이지적도을 디지털로 전환하면서 우표발행심의위원회의 기념우표 대상사업에 선정됐다.
현재 종이지적도는 고령화로 인해 정확도가 감소하고 훼손ㆍ변형에 따른 토지 분쟁 등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고 있다.
이에 국토부는 오는 2030년 디지털지적 완성을 목표로 1조3000억원 규모의 지적재조사 사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해 완료한 선행사업에서 인공위공을 이용해 토지를 디자인한 결과, 토지 분쟁이 사라지고 이용가치는 높아지는 효과가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디지털 지적정보는 다른 공간정보와 융ㆍ복합 활용이 가능해 앞으로 국민의 요구에 한발 앞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기념우표의 경우 지적재조사 사업을 추진하는 전국 곳곳에서 토지소유자 및 이해관계인 대상 우편물 발송, 대・내외 행사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