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디스토마 퇴치’ 속도 더 낸다

2014-03-19 10:21
  • 글자크기 설정

- 도 보건환경연구원, 질병관리본부 등과 기생충 감염률 실태조사 -

아주경제 허희만 기자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은 금산과 청양 지역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기생충 실태와 거주민에 대한 기생충 감염률 조사를 실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질병관리본부, 금산군 및 청양군 보건의료원과 합동으로 실시하게 되며, 도 보건환경연구원이 해당 유역 민물고기 포획과 기생충 실태 조사를, 양 군 보건의료원은 주민 감염 조사를 통해 양성으로 나타날 경우 치료를 담당한다.

 일명 ‘간디스토마’로 알려진 간흡충증은 세계보건기구(WHO) 암 연구 전문기구(IARC)에서 1급 발암성 병원체로 분류한 고위험 병원체로, 우리나라에서는 제5군 간염병으로 관리하며, 담관암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이번 조사와 관련, 20∼21일 질병관리본부와 해당 지자체,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워크숍을 개최하고, 그동안 추진 상황을 살핀 뒤 올해 추진 사업을 논의한다.

 도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간흡충 감염 모니터링 사업은 간흡충 조기 퇴치와 어류 전파 경로 차단 등 대책 수립을 위한 국가사업”이라며 해당 지역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한편 지난 2009∼2013년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금강유역 간흡충 양성률은 11.3%로, 금강, 한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등 5대강 유역 간흡충 평균 양성률 9.4%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인 관심과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