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18/20140318111435601837.jpg)
<사진 신화사>
아주경제 이규진 기자 = 식품 가격이 급등하면서 아침식단을 위협하고 있다. 주요 농축산물 생산지역에서 가뭄· 질병 등이 발생한데다 수요가 급증하면서 주요 8개 식품가격이 올해 들어 평균 25%나 증가했다.
1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최근 커피·오렌지주스·밀·설탕·우유·버터·코코아 돼지고기 등 가격이 예상치 못하게 급등했다. 브라질에서 계절에 맞지 않는 가뭄으로 커피 가격이 70%이상 증가했다. 미국 시카고에선 유행성 바이러스로 인해 돼지고기 가격이 40% 이상 증가했다.
유제품 가격도 급등했다. 중국·러시아 등 신흥국에서 우유ㆍ버터ㆍ분유 등 수요가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원유 구리 등 산업 원자재 가격은 올해 들어 부진했지만 식료품 상품가격은 강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맥콰리의 코나 하쿠에 상품 애널리스트는 "정치적 리스크가 시장에 영향을 준데다 수요까지 증가하면서 가격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식료품 가격은 앞으로 몇 달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세계 일부 지역에 엘니노 현상이 극단적인 날씨로 몰아가기 때문이다. 엘리뇨는 매년 태평양 표면온도가 오르는 현상이다. 이로 인해 가뭄·폭우 등이 형성된다.
예컨대 인도·동남아시아·호주 등에 가뭄이 발생한다면 밀 가격이 더 올라 토스트를 먹기 부담스러울 수 있다. 엘리뇨 현상이 심화되면서 코코아 주요 생산국인 아프리카 지역이 건조해지면 핫초콜릿 음료가격도 치솟을 것이다. 최근 인기가 많은 연어도 문제다. 엘리뇨로 바닷표면이 따뜻해지면 연어의 주요 먹이인 멸치 수확에 타격을 주기 때문이다.
상품중개업체인 마렉스 스펙트론의 조나단 파크만 농업국 국장은 "앞으로 몇 달간 아침식사 식재료 생산국을 위협할 요소가 많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