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PGA투어에서 지난해와 올해 두드러지게 나타난 특징은 무엇일까.
선수들이 드라이버 대신 3번 우드(스푼)를 많이 사용한다는 점이다. 특히 파4, 파5홀 티샷을 할 때 스푼으로 치는 선수들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드라이버를 빼고 드라이버 대용 스푼을 집어넣은 선수 가운데 대표적인 사례는 필 미켈슨(미국)이 꼽힌다. 독특한 클럽구성으로 유명한 그는 지난해 브리티시오픈에 드라이버를 빼고 오버사이즈 스푼(캘러웨이 X핫 3-딥)으로 티샷했다. 곳곳에 산재한 항아리 벙커를 피하고 의도한 곳으로 볼을 보내기 위한 전략이었다. 그는 지난해 브리티시오픈에서 처음 우승했다. 그는 몇년 전 US오픈에도 드라이버를 빼고 나간 적이 있다. 미켈슨은 올해는 업그레이된 스푼(X2 핫 2-딥)을 애용하고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16/20140316173448424565.jpg)
캘러웨이 X2핫 3-딥 우드
테일러메이드에서는 신제품 드라이버 ‘SLDR’의 인기를 몰아 헤드크기 250cc, 로프트 12도짜리 ‘축소형 드라이버’를 다음달 선보일 예정이다. 드라이버라고는 하나, 스푼에 가까운 스펙이다. 이 제품은 티샷은 물론 페어웨이에서도 쓸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핑은 헤드크기 220cc, 로프트 13도 짜리 ‘랩처’ 스푼을 선보였다. 이 우드는 자사의 ‘G25’ 스푼보다 헤드가 3분의 1가량 더 크다. 핑은 이 스푼의 컨셉을 ‘백업 드라이버’로 정했다.
투어프로들이 드라이버 대신 스푼을 점점 선호하는 것은 스푼으로도 티샷을 285야드 가량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285야드정도의 거리라면 웬만큼 긴 파4홀에서도 두 번째 샷을 그린에 올릴 수 있다. 위험을 무릅쓰고 드라이버샷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16/20140316173533736792.jpg)
테일러메이드가 내놓을 초소형 드라이버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16/20140316173625317115.jpg)
핑의 랩처 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