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점포축소 역효과...영업일·시간 조정 고려해야”

2014-03-16 13:14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 국내 은행들이 수익성 악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영업시간과 영업일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무조건 점포를 줄이는 것은 되레 역효과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이다. 

서병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이 16일 발표한 '국내은행 점포망 재편의 이슈 및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자기자본 대비 판매관리비 비중은 2007년 20.7%였지만 금융위기를 계기로 줄어 2012년에는 15.4%까지 떨어졌다.

한국의 성인 10만명당 은행 점포 수도 2012년 말 현재 18.4개로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25.0개)을 밑돈다.

서 연구위원은 "국내은행의 수익성이 악화한 것은 저금리로 순이자마진(NIM)이 축소되는 가운데 대손상각비가 늘었기 때문이며 점포 수나 점포 비용과는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국내은행의 NIM은 2007년 2.4%에서 2013년 1.9%로 떨어졌고, 이 기간 국내은행의 대손상각비는 3조 9000억 원에서 10조 원으로 늘었다.

그는 "은행 점포는 상품판매와 고객서비스의 핵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점포 비용을 무리하게 줄이면 고객 이탈과 금융사고 증가로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오히려 수익성에 도움이 되는 교차판매(cross selling)를 하고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과 기술정보(IT) 투자를 뒷받침하려면 점포망이 강화돼야 한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서 연구위원은 점포의 영업력을 높이려면 여유자금이 있는 직장인을 위해 오후 1∼9시에 문을 여는 등 영업시간을 바꾸거나,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영업하는 등 영업일을 조정하는 것이 한 방법이라고 제언했다.

서 연구위원은 마트 등에 입점한 '인스토어' 점포도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영업시간·영업일 조정이나 인스토어 점포 보급을 통해 직장인의 점포 이용률을 높여야 한다"며 "이를 위해 교대근무제 도입이나 시간선택제 근로자 활용도 고려해야 한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