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월까지 해외 등으로부터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 번호를 사칭해 걸려온 해외 보이스피싱에 대해 해당 발신전화를 차단한 건수가 21만5000건에 달했다.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의 전화번호를 사칭해 인터넷문자서비스 사업자를 통해 소액결제 문자나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등의 스미싱에 대해 발신문자를 차단한 건수는 55만7000건이었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이상일 의원(새누리당)은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제출 받은 금융 및 공공기관 발신번호 사칭 해외 보이스피싱 및 스미싱 차단건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은행 등 금융기관 발신번호를 사칭한 해외 보이스피싱 차단건수는 19만9022건(92.2%), 식품의약품안전처, 경찰청, 대검찰청 등 공공기관 번호를 사칭한 해외 보이스피싱에 대한 차단건수는 1만6795건(7.7%)으로 총 21만5817건이었다.
금융기관 중 해외 보이스피싱에 대한 발신번호 차단건수가 가장 많았던 곳은 국민은행을 사칭한 경우로 10만9500건이었고 중소기업은행 사칭이 7만1176건, 친애저축은행 사칭 1만3860건, 신한은행 사칭이 2434건이었다.
공공기관 발신번호 차단건수 중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사칭이 6965건으로 가장 많아 공공기관 번호를 사칭한 해외 보이스피싱 차단건수인 1만6795건의 41.4%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경찰청 사칭이 3360건, 대검찰청 사칭이 2545건이었다.
현재 KT 등 국제기간통신사업자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국내 금융기관과 공공기관의 전화번호를 넘겨받아 해외에서 걸려오는 전화가 이 번호에 해당할 경우 발신을 차단시키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의 전화번호를 사칭해 인터넷 문자서비스 사업자를 통해 사기문자를 보내는 스미싱도 발송을 차단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1월부터 2월까지 55만7000건을 차단했다.
이 중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의 발신번호를 기반으로 스미싱을 찾아내 발신을 차단한 건수는 37만건이었고 발신되는 문자내용에 기반해 스미싱을 탐지하고 발신을 차단한 건수는 18만7000건이었다.
문자내용을 통해 스미싱을 탐지한 18만7000건 중 공공기관을 사칭한 스미싱을 차단한 건수는 7만7040건이었고 법원이 4만5921건으로 가장 많았다.
금융기관을 사칭한 스미싱을 차단한 것은 3086건으로 신한카드 사칭이 1957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상일 의원은 “올해 신용카드사와 이동통신사들의 잇따른 개인정보 유출사건으로 국민의 2차 피해가 우려되는 가운데 금융기관과 공공기관을 사칭한 해외 보이스피싱이나 스미싱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며 “국민은행 같은 시중 은행이나 법원, 경찰청을 사칭한 경우가 많은 만큼 계좌이체나 결제 등을 요구하는 전화나 문자를 받을 때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정부도 보다 많은 기관들이 전화번호를 사전에 등록하도록 해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 전화번호를 사칭한 해외 보이스피싱이나 스미싱이 사전에 차단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