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앞으로 다가온 이통 3사 영업정지‥곳곳에서 긴장모드

2014-03-12 08:27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  이통3사 영업정지가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이해관계에 따라 다양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 미래부에 이어 방송통신위원회도 13일 이통사에 영업정지를 내릴 것으로 알려지면서 시장의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이통사들은 물론이고 제조사들까지 이중 규제만큼은 안 된다는 입장이다.

SK텔레콤은 다음달 5일부터 5월19일까지, KT는 오는 13일부터 다음달 26일까지 각각 45일간 사업정지를 처분을 받았다. LG유플러스는 절반씩 나눠서 총 45일간 사업정지를 실시한다. 기간은 오는 13일부터 다음달 4일, 다음달 27일부터 5월18일까지 이다.

이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이통 3사는 영업정지를 앞두고 다양한 혜택을 내세우며 판촉 활동에 열을 올리고 있다.

12일 이통사 판매점들은 무작위로 고객들에게 전화나 메시지를 보내 특가에 기기변경을 권유하고 있다.

이통 3사 직영점들의 상황도 다르지 않다. 이들은 자사 고객들에게 전화를 걸어 기기변경을 권유하며 통화가 끝난 후에도 매장 위치를 기재한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이 같은 판촉 활동에 다시금 불법 보조금 논란이 슬금슬금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영업정지를 하루 앞둔 일선 매장의 반발은 거세다. 휴대폰 매장 관계자들은 미래부가 지난해 영업정지를 통해 유통업자들이 겪은 피해를 알고서도 이를 외면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단체 행동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휴대폰 대리점 및 판매점 연합체인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는 방통위 추가 제재가 예정된 13일 1000명 이상이 참가하는 대규모 집회를 펼칠 예정이다.

제조사들도 대놓고 말은 못하지만 속앓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오는 4월 11일 차세대 전략 스마트톤 갤럭시S5의 글로벌 동시 출시를 앞둔 삼성전자는 깊은 고민에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자칫하면 국내 시장에서 신제품 효과를 거두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들도 영업정지가 부담이 되기는 마찬가지다. 스마트폰 구매 계획을 한 달 이상 미뤄야하기 때문이다. 이통사 동시 영업정지로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미래부의 입장은 단호하다. 수차례 경고에도 불구하고 불법행위를 지속한 사업자에게 징벌적 징계를 내리데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이중규제 논란을 부른 방통위도 불법 행위를 주도한 사업자에게 영업정지 처분을 내리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