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가 11일 통일 분야 전문가들을 초청해 '국민대통합 심포지엄 : 한반도 통일, 과연 대박인가'를 개최한 자리에서 홍순직 현대경제연구원 통일경제센터 센터장은 통일비용과 편익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은 전망이 나왔다고 밝혔다.
홍 센터장은 "통일은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급락과 외풍 구조에 취약한 구조적 문제 등을 해결하면서 지속 발전 가능한 신성장동력과 발전공간을 제공하고 내수비중 확대를 통한 안정적 성장구조 모형을 제시할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2040년엔 4조 9560억 달러로 영국과 독일을 추월하고 2050년엔 6조 5600억 달러로 세계 8위의 경제대국으로 올라설 수 있다는 관측이다.
2015년에 당장 통일을 이루면 1인당 GDP는 2만 2000달러로 주춤하겠지만 2020년에 2만 8000달러로 성장한 뒤 2030년 4만 3000달러, 2040년 6만 6000달러, 2050년 8만 6000달러까지 치솟을 것으로 예상됐다.
이렇게 GDP가 급성장하게 되면 영국, 러시아, 프랑스, 일본보다 국민소득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홍 센터장은 통일 후 대북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및 북한경제 재건, 북한주민 지원, 제도통합과 함께 사회혼란과 이념적 갈등, 남북 주민 간 이질감 등 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지만 장기간에 걸친 통일 편익에 비해 일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당장 남북이 통일되면 한국이 필요로 하는 지하자원의 절반을 북한 광물자원으로 조달해 연간 153억 9000만 달러의 수입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홍 센터장은 평가했다.
현재 북한의 주요 광물자원 잠재가치가 한국의 24.3배인 3조 9033억 달러에 이르는 것을 감안할 때 실제 수입대체 효과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대목이다.
이와 함께 통일 한반도는 군사통합에 따라 2013년부터 2050년까지 누적 1조 8862억 달러의 국방비를 절감할 것으로 예측됐다.
아울러 남북 단일팀은 하계 올림픽에서 종합 5위 이내의 성적도 낼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통일 한국의 국력지수는 1.94로 세계 10위에 오를 수 있다는 분석이다.
홍 센터장은 "통일을 신성장 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한시적으로 필요한 통일비용에 대한 부담보다는 영구히 지속되는 편익에 초점을 맞추고 통일여건 조성을 위한 비용을 '사전적 분산투자'로 생각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에 나선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임을출 교수도 60조원에 달하는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에 따른 건설 물량을 상기시키며 "통일이 우리 기업들의 새로운 투자처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