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국가별로는 중국(28.5%), 아세안(16.8%), 미국(7.4%) 등의 수출이 호조세를 보여 전체적으로 수출이 증가했다. 반면 루블화 약세와 경기침체 등으로 러시아(-2.2%), 유럽연합(EU, -14.3%)은 소폭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유자차(15.5%), 팽이버섯(15.6%), 딸기(20.7%) 등이 증가했고, 김치(-6.6%), 인삼(-44.0%), 가금육류(-80.9%) 등은 감소했다.
유자차의 경우 지속적인 엔저현상에 따라 가격경쟁력 저하로 대(對) 일본 수출이 감소했지만, 주 수출국인 중국을 중심으로 한 중화권에서의 수출상담회 개최 등 마케팅사업의 본격적인 가동으로 수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김치는 현지마켓의 김치 입점 증가, 발효식품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미국·홍콩 등의 수출은 증가했지만, 엔저 및 일본산 신상품 대거 출시로 인한 주 수출국 일본으로의 수출은 감소해 전체 수출실적이 감소했다는 평가다.
김치는 현지마켓의 김치 입점 증가, 발효식품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미국·홍콩 등의 수출은 증가했지만, 엔저 및 일본산 신상품 대거 출시로 인한 주 수출국 일본으로의 수출은 감소해 전체 수출실적이 감소했다는 평가다.
가공식품 중에서는 음료(31.0%), 조제분유(44.1%), 비스킷(35.9%) 등이 늘었고, 자당(-10.6%), 소주(-7.2%), 마요네즈(-35.9%) 등이 줄었다.
음료는 신제품 개발 및 런칭으로 미국 수출이 증가, 춘절 이후 물동량 회복으로 중국으로의 수출도 늘었다.
자당은 주 수출국인 중국이 설탕 재고물량 증가 등으로 인해 수출이 줄었고, 소주도 일본의 저도주 선호 현상 확산으로 주류시장이 지속적으로 축소되면서 한국산 소주 수출이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