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에 따르면 정부 공모사업인 ‘혁신산단’ 선정이 3월 중 서울에서 개최되는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혁신산단’은 전국 9개 국가 산업단지 중 2개 단지를 선정하는 것이다.
경남도는 이에 따라 노후화된 창원산단을 첨단산업과 문화·복지·교육이 어우러진 창의·혁신 공간으로 새롭게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산업통상자원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고 사업에 선정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서고 있다.
그 동안 경남도는 혁신산단 지정을 위해 홍준표 경남도지사를 위원장으로 하는 ‘구조고도화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도내 산·학·연·관의 역량을 결집해 관련 중앙부처 등 정관계 인사를 만나 혁신산단 선정 필요성을 설명해 왔다.
창원산단이 혁신산단에 선정되면 공간조성사업, 혁신역량강화사업, 관계부처합동공모사업, 환경개선사업 4개 부문 21개 사업으로 총 8425억원이 투입돼 2018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세부사업은 연구개발 인프라 조성을 위한 ▲융복합 기업지원관 구축 ▲산학 융합지구 조성 ▲지식서비스 혁신센터 구축과 산단 내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근로자종합복지관 건립 ▲클린사업장 설치 ▲지역 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센터 등이 있다.
또 근로자의 출퇴근, 여가활용 등 복지증진을 위해 ▲산단셔틀버스운행 ▲공동주차장 설치 ▲남천 문화산책거리 조성 등을 비롯한 다양한 사업들로 이루어져 있다.
향후 창원산단이 혁신산단으로 선정되면 그동안 성장이 정체되고 단순 제조업 위주의 노후화된 산단이 첨단산업 중심의 고부가가치 업종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근로 및 정주여건 개선과 근로자 복지증진으로 우수한 인적자원의 원활한 수급이 이루어 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경남도 하승철 경제통상본부장은 “경남도 생산액의 34%를 차지하는 창원국가산단이 혁신산단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 하고 있다”며 “‘혁신산단’으로 지정되면 창원국가산단은 동북아 기계산업의 중심지로 재도약해 국가경제와 동남권 발전을 견인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