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욱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9일 '최근 신흥국 금융불안의 배경과 전망' 보고서를 통해 신흥국의 금융시장 불안이 한국 금융시장에 전이될 가능성은 낮지만 신흥국 경제불안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향후 신흥국의 성장속도가 예상보다 느려져 수입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미국의 통화정책 전환이 신흥국의 자본유출 및 통화가치 절하로 이어지고 외화유동성 부족 및 물가 급등을 우려한 신흥국 정부가 금리를 인상하면 내수 둔화로 수입이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실제 터키와 인도, 브라질 등 자본유출 압력이 큰 신흥국 정부는 금리 인상을 통해 환율을 방어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신흥국 수출 비중은 43.9%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신흥국 중 높은 편에 속한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신흥국 수출 비율도 21.2%로 OECD 국가나 신흥국 중에서도 상위권에 속한다.
박 연구위원은 "미국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의 직접적 영향으로 한국에 금융위기가 발생하거나 신흥국의 금융위기가 한국에 전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면서도 "한국은 신흥국 수출 비중이 높아 수출 둔화로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될 위험이 상당하다"고 말했다.
박 연구위원은 이에 대비해 정책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보기술(IT) 등 한국의 경제성장을 주도한 요인을 대체할 새 성장동력을 발굴해야 한다"며 "현재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는 외화유동성 관리에도 힘쓰고 금리상승기에 부채 문제가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