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9일 개성공단의 지난해 12월 생산액이 3529만 달러로, 이는 전년 같은 달 3642만 달러의 94% 수준에 해당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개성공단에서 일하는 북한 근로자도 5만 2000여명으로 개성공단 가동 중단 직전인 지난해 3월의 5만 3000여명 수준을 회복했다.
아울러 이달 6일을 기준으로 개성공단에 입주한 123개사 가운데 1곳을 제외한 122곳이 정상 가동되고 있다.
지난 1월 남북 간 교역액도 1억 6887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의 94%를 기록했다.
5·24 조치로 다른 남북 간 교역이 전면 중단되면서 현재 남북 교역액은 실질적으로 개성공단에서 모두 발생하는 구조다.
통신, 통관, 통행을 가리키는 '3통' 개선을 비롯한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에도 일부 진전이 이뤄졌다고 통일부는 평가했다.
남북은 지난해 12월 개성공단 전자출입체계(RFID) 출입 시스템을 구축하고 시범 운영을 하고 있다.
이 시스템 운영이 정착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에만 출입할 수 있는 예전과 달리 출입 신고 당일에 한해 자유롭게 개성공단을 드나들 수 있게 된다.
남북은 또 최근 개성공단에 인터넷을 설치하기로 원칙적으로 합의했고, 통관 절차도 개봉 검사를 최소화하고 X선 검사를 중심으로 진행하는 등 간소화하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