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평가는 9일 '동부그룹 자구계획 진행상황 점검' 보고서를 통해 "동부그룹의 자구계획 이행과 관련해 지연 및 축소 가능성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동부그룹은 지난해 말 △동부하이텍 △동부메탈 △동부발전당진 △동부익스프레스 등의 지분매각과 동부특수강 기업공개(IPO), 김준기 회장의 사재출연 등을 통해 총 3조원 규모의 유동성을 확보하겠다는 자구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한국기업평가는 동부그룹 자구계획 중 매각대상 자산의 상당수가 특수목적법인(SPC) 편입 방식이 아닌 개별매각 방식으로 추진돼 자금유입 시기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동부메탈 지분 매각, 동부 당진항만운영 파이낸싱 관련 투자자 모집, 동부특수강 IPO 등에 대한 진행상황 감안 시 자금유입 규모가 당초 계획보다 축소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봤다.
이러한 문제점이 제기되자 금융감독원은 최근 동부그룹에 자구계획안을 신속히 이행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구계획안에 따라 동부그룹과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선정한 회계법인은 매각대상 자산에 대한 실사를 대부분 완료하고 자산별 매각가치 산정 및 매각방식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기업평가는 보고서를 통해 동부제철과 동부건설의 1년 내 만기 도래 차입금 규모를 감안해 신속인수제 등을 통한 차환 외에도 조속한 자구계획 이행에 따른 현금유입 등 별도의 해결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동부제철의 1년 내 만기 도래 단기성 차입금은 총 1조3300억원으로 이 중 회사채 4510억원은 신속인수제 외에도 추가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신속인수제를 통해 차환될 것으로 보이는 부분을 제외한 신주인수권부사채(BW) 풋옵션 행사분 1000억원과 공모 사채 만기도래분 중 미차환금액 805억원은 자체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동부건설도 연말까지 만기도래하는 2676억원 규모의 회사채 중 산은과 계열사가 보유한 1500억원을 제외한 부분에 대한 자체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한편 보고서는 주요 계열사 유동성 확보의 상당 부분이 자구계획 이행과 관련됐기 때문에 지연되거나 축소될 경우 계열사의 유동성 대응력 저하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며 중점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