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고노담화 검증팀에 학자들도 포함시켜 당시 상황을 조사하고 담화 작성 과정에서 한국 측에 배려하기 위해 한국 정부와 의견 조율을 했는지 여부도 확인한다고 전했다.
또 고노담화는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을 기초로 작성돼 검증팀이 당시 증언했던 위안부 피해자에게 청취조사를 실시할 방침이며 스가 관방장관은 "청취조사는 비공개가 전제이기 때문에 기밀유지 속에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스가 관방장관은 "지난 국회 참고인 증언에서 당시 부장관이 한국 측에 배려해 담화가 작성됐을 수 있다고 말했기 때문에 그 검증은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한편 자민당 내에는 "정부가 역사문제를 검증해도 외교적으로 아무런 이점이 없다"고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고 전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3/02/2014030200352853034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