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명주소 전면사용 한달 앞...공공기관 사용의무화

2013-12-01 14:19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도로명주소 전면 사용 시행일이 한달 앞으로 다가왔다.
 
올 연말까지는 지번·도로명 주소로 병행 사용할 수 있으나, 내년부터는 공공기관에서 전입·출생·혼인신고 등 각종 신청을 하거나 서류를 제출할 때는 반드시 법정주소인 도로명주소를 의무 사용해야 한다.   
 
다만 기존 주소에 사용하던 지번은 토지관리를 위한 번호로, 부동산 매매·임대차계약서상 부동산 표시에만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안전행정부는 도로명주소 전면시행을 30일 앞두고 전국 2040만 가구에 도로명주소 사용 안내문을 배부한다고 1일 밝혔다.   
 
안내문은 지방자치단체별로 각 가구에 우편이나 통장·이장 등이 직접 방문해 전달할 예정이고, 홈페이지(http://www.juso.go.kr)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도로명주소란 기존 지번을 대신해 도로에 이름을 붙이고 건물에 번호를 붙여 도로명과 건물번호로 알기 쉽게 표기하는 새주소를 말한다.   
 
도로명주소는 지금까지 쓰던 지번주소와 시·군·구, 읍·면까지는 같지만, 동리와 지번 대신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사용한다. 지번주소의 지번은 '번지'라고 읽지만 도로명주소의 건물번호는 '번'으로 읽는다.   
 
이주석 안행부 지방재정세제실장은 "도로명주소 개편은 길 찾기 편의성을 높이고,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주소체계 도입으로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며 "초기에 다소 불편함이 있더라도 일상생활에서 도로명주소를 적극 활용해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