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제약사 관련 지표는 빠르게 호전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표한‘2013년 상반기 국내제약 경영실적 분석’에 따르면 올 상반기 상장 제약기업 67곳의 매출 규모는 5조 3818억원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한 수치다.
괄목할만한 성장세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어 보이지만 정부 주도의 대규모 약가인하가 실시된 이후 최근 2년 간 이들 제약사의 매출 상승분이 연간 1%대였음을 감안하면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매출 1000억원 이상을 달성한 기업 역시 지난해 15개에서 17개로 소폭 증가하며 질적·양적인 성장에 성공했다.
정부의 자금지원도 확대된다.
지난 16일 보건복지부가 내년도 예산안을 책정한 가운데, 글로벌 제약산업 육성 펀드 지원에 200억원이 투입될 계획이라 업계의 발전방향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보건의료 연구개발(R&D) 투자 규모도 올해보다 300억원 가까이 늘었으며, 150억원의 신규 예산이 글로벌 헬스케어 인재센터 설치를 위해 쓰이게 된다.
지표상으로는 분명 업계 내외부의 여건이 호전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돌발변수도 있다. 보건당국이 새로운 약가제도를 내놓았기 때문이다.
지난 16일 보건복지부는‘사용량 약가 연동제’를 개편한다고 밝혔다.
사용량 약가 연동제는 매출이 급증한 제품의 보험약가를 깎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청구실적이 전년대비 60% 이상 증가했을 경우 약가를 인하했지만, 개편안이 실시되면 청구실적이 전년 대비 10% 증가하거나 절대금액이 50억원 이상 증가하면 약가인하 대상에 포함된다.
제약사로서는 부담일 수 밖에 없다.
최근에는 제약사들의 의약품 관리 실태에 잇따라 허점이 드러나며 소비자들에게 불안요소를 노출했다.
웨일즈제약이 유통기한을 조작한 제품을 판매하다 식약처로부터 900여개 전 품목에 대한 강제회수가 단행됐다. 이후 168개 품목은 판매금지 조치가 해제됐지만 제약산업 자체에 대한 신뢰도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다른 제약사들 역시 크게 다를 바 없다.
지난 7월 보건당국이 실시한 조사에서 상당수 업체들이 의약품 정보관리시스템 등에서 허점을 드러내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 중 의약품 소비지출액이 감소하는 추세" 라며 "제약사들이 소비자들에게 믿음을 주지 못한 이유도 크며 업체들이 외적 성장 못지 않게 질적 성장을 위한 소프트웨어 구축과 개선 노력에도 힘써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