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중개발된 서울, 도심 분산·철도 확보한다

2013-09-26 14:04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서울시가 26일 발표한 ‘2030 도시기본계획안(서울플랜)’에는 지난 20년간 4대문 안에만 집중된 도심의 기능을 강남, 영등포·여의도로 분산하고 낙후된 동북권과 서남권의 경제를 살리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또 철도와 녹지를 최대한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의 현재 1도심·5부도심·11지역중심 체제는 1990년 법정 도시기본계획 수립 후 지금까지 이어져 왔다. 지난 20년간 5부도심에 속했던 강남, 영등포·여의도는 이미 도심급 중심지로 성장했다.

시는 계획안에 따라 강남을 국제업무중심지로, 영등포·여의도를 국제금융중심지로 특화해 기존 도심의 포화상태를 줄인다.

이제원 시 도시계획국장은 “도심으로의 승격은 광역교통망을 확충하고 개발 재원을 투입하는 데 우선순위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또 강남과 영등포·여의도가 빠진 부도심 체제는 없애고 7광역중심 체제로 바꿔 마곡, 잠실, 상대적으로 낙후한 동북권의 창동·상계, 서남권의 가산·대림을 추가했다.

특히 동북권은 KTX 동북부를 연장하는 동시에 공릉과 홍릉을 활용해 신성장 사업기반을 마련한다. 서남권은 남부 급행 철도와 경전철을 추진해 산업중심지로 키울 계획이다.

도심권은 한양도성 복원·용산공원 조성·대중교통 접근성 강화, 동북권은 특화산업 고용창출을 통한 자족기능 강화, 서북권은 대학가를 중심으로 한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창조산업 특화, 서남권은 G밸리 등을 통한 준공업지역 혁신, 동남권은 MICE산업 육성과 아파트의 계획정비 등을 주제로 발전시켜 나간다.

시는 수도권 거주 직장인이 서울 출퇴근 유입으로 발생하는 시내 교통난을 해결하기 위해 '철도 확충'을 제시했다. 최근 9개 노선의 경전철 사업계획을 시가 발표한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수도권 서북권과 동남권의 연계 강화를 위해 신분당선을 4대문 내 도심을 거쳐 경기 북부의 고양 삼송까지 연장할 계획도 발표했다.

또 인천∼가산∼강남·잠실을 잇는 남부 급행철도를 건설해 서남권과 동남권을 연결하고, 고속철도 서비스에서 제외된 동북부에는 KTX 수서∼평택 노선을 의정부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시 관계자는 “이를 실현하려면 국토교통부와의 협의가 필요하고 서로 노선을 얻고자 경쟁하는 지역 이해관계자들의 갈등을 조정해야 하는 큰 과제가 남아있다”고 말했다.

시는 무분별한 개발탓에 얼마 남지 않은 녹지를 보존하기 위해 관악산과 북한산을 잇는 남북 녹지축과 계양산·청계산·수락산 등 외곽의 녹지축을 유지하면서 내부의 내사산과도 연결해 서울성곽과 연계한 녹지축을 조성할 계획이다.

주거안정을 위해서는 공공임대주택 비율은 5%에서 12%로 높인다.

그러나 재원을 어디에서 충원하느냐는 문제가 남아있다. 시는 감소하는 세수 탓에 무상보육 재원분담 등 각종 복지 이슈를 둘러싸고 최근 정부와 계속 갈등을 빚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