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금융소비자연맹 제공> |
26일 금융소비자연맹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발표한 ‘신용카드 현금·리볼빙서비스 수수료 및 소비자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평균 수수료율은 21.7%(연간 환산), 리볼빙서비스 수수료율(대출성 기준)은 22.9%로 집계됐다.
카드사별로 살펴보면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평균 수수료율은 한국씨티은행이 25.1%로 가장 높았고 수협중앙회·비씨카드가 18.7%로 가장 낮았다.
최고 수수료율로 따지면 가장 높은 카드회사는 현대카드(28.5%), 가장 낮은 회사는 기업은행(24.0%)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고·최저 수수료율 격차가 가장 큰 카드회사는 광주은행(21.5%포인트)이며 가장 작은 회사는 비씨카드(10.9%포인트)였다.
아울러 현금서비스 수수료율의 경우는 동일한 회사의 경우라도 신용등급에 따라 최대 21.5%포인트의 차이를 보였다.
신용등급이 낮은 하위 40%의 소비자들은 상위 30% 소비자들에 비해 평균 12.0%포인트 높은 현금서비스 수수료를 부담한다는 게 금융소비자연맹의 추산이다.
현금서비스 이용회원의 수수료율 분포현황을 보면 전체 이용회원의 67.3%는 20.0% 이상의 높은 수수료율을 적용받고 있다. 22〜24%에 해당하는 이용회원은 20.1%에 달했고 24〜26%는 19.0%를 차지했다.
특히 리볼빙서비스 평균 수수료율은 20.4%로 카드사별로는 씨티은행이 23.8%를 차지했다. 하나SK카드는 16.8%로 가장 낮았다. 대출성 수수료율이 결제성 수수료율보다 평균 4.9%포인트 높다는 결과도 도출됐다.
![]() |
<표=금융소비자연맹 제공> |
통상 결제성 리볼빙서비스 연체율이 대출성 리볼빙서비스 연체율보다 높은 점을 감안하면 대출성 리볼빙서비스 수수료율이 더 높게 책정된 것으로 금융소비자연맹 측은 판단하고 있다.
회사별 결제성 수수료율은 스탠다드차타드은행(21.4%)이 가장 높았고 하나SK카드(14.1%)가 가장 낮았다. 대출성 수수료율의 경우는 씨티은행(26.5%)이 가장 높았고 기업은행·외환은행이 각각 19.4%로 가장 낮았다.
이는 리볼빙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 중 59.7%가 20.0% 이상의 높은 수수료율을 적용받고 있는 것을 반증한다.
국가별 현금서비스 수수료율과 리볼빙서비스 수수료율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한국이 미국이나 영국보다 다소 낮았지만 일본이나 독일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이 외에도 현금서비스 수수료율(21.7%)을 다른 금융권의 신용대출서비스 이율과 비교한 결과 은행 신용대출이율(6.9%)의 3.1배, 보험 신용대출이율(11.4%)의 1.9배, 상호금융(신협·새마을금고 등) 신용대출이율(7.4%)의 2.9배 수준으로 기록됐다.
금소연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금융당국에 현금·리볼빙서비스 수수료율 관련 공시 제도 개선방안의 신속한 시행, 표준약관 제정 등을 촉구할 것”이라며 “사업자들에게도 보다 많은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수수료율도 합리적 수준으로 책정하도록 요청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용어설명
△현금서비스는 소비자가 필요시 신용으로 신용카드회사로부터 현금을 빌리는 것을 말한다.
△리볼빙서비스는 카드이용대금(일시불 상품구입금액 및 현금서비스 이용금액) 중 일정비율(통상 10~20%)만 결제하면 잔여결제대금의 상환을 연장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