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25일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시작으로 10월 22~23일 이틀간 화상상봉, 11월에는 추가 대면상봉을 추진하기로 합의했었다.
하지만 북한의 일방적인 연기 발표와 남북의 강도 높은 비난 성명이 오가면서 이산가족 상봉이 다시 개최되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23일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조속히 연기를 철회하고 일단은 당초 9월 25일로 예정되어 있던 상봉행사가 우선적으로 진행되면 이전에 합의한 화상, 추가 상봉 협의가 가능하다"면서도 "북한이 며칠 앞두고 제일 먼저 예정된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연기한 상황에서 화상 상봉, 11월 예정되어 있던 추가 상봉문제를 위해 현재 협의를 한다는 계획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즉 25일 예정됐었던 이산가족 상봉이 정상적으로 먼저 진행돼야 이전 협의한 화상, 추가상봉도 진행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는 이번 상봉행사 연기 사태에 대해 "그 어떤 설명이나 변명으로도 정당화 될 수 없다고 본다"면서 "이산가족들에게 큰 실망과 아픔을 주었다는 차원에서 우리 국민과 국제사회에 비난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특히 북측이 이산가족 상봉행사와 연계를 시키려고 했던 금강산관광 재개를 위한 회담에 대해서도 기존의 정부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 대변인은 "(이산가족) 상봉과 관광 문제는 별개라는 기본 입장을 갖고 있다"면서 "별개로 추진하더라도 현재로서는 관광 재개를 협의하는 것은 국민정서 등을 감안하면 적절치 않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회담 일정을 갖고 있지 않다"면서 "이산가족 상봉이 무산된 현재 분위기에서 금강산 관광 회담 재개는 어렵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한 정부 당국자는 '대화가 다시 열릴 경우 금강산관광 재개를 위한 회담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정부가 나올 의지는 있는 것이냐'는 질문에 "정부는 항상 적극적으로 대화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할 의지가 있었다"면서 "이것은 단지 선후관계를 따져서 무엇부터 하겠다는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한편 북한은 이날도 박근혜 정부의 대북 원칙론이 남북관계를 파국으로 몰아가는 근본요인이라면서 대남 비난을 이어갔다.
북한 노동신문은 "북남관계 개선을 가로막는 반통일적인 원칙론에 매달리며 동족대결의 길로 나아간다면 반드시 역사와 민족의 준엄한 심판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