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일자리 창출 본격 가동"

2013-09-24 10:31
  • 글자크기 설정

- 일자리 친화형으로 산업정책 패러다임 전환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정부가 오는 2017년까지 해양플랜트 등 4대 산업에 있어 3만7000개 일자리 창출을 모색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24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골자의 '전략산업 인력양성 및 산업의 일자리 창출력 강화방안'을 보고했다.

이번 대책은 '고용률 70% 로드맵' 이행을 위한 정책방안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산업부는 '전략산업 인력양성·공급 → 인력 수요기반 조성 → 창조경제형 신시장 창출 → 일자리 수요 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축을 위한 산업인력 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해양플랜트, 임베디드 SW, 뿌리, 섬유·패션산업을 인력양성과 일자리 창출의 발화점이 되는 '4개 전략산업'으로 선정해 지원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해양플랜트 분야에서는 글로벌 산학협력 등 전방위적 인력프로그램을 발굴하고, '해양엔지니어링 장학금' 신설 및 특성화대학과 취업연계형 석·박사 협동과정을 확대 운영키로 했다.

이와 함께 해외 수주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용접·의장(배관·전기·기계) 등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고, 관계부처와 함께 '대학 SW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올 하반기 중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뿌리산업에 있어서는 국내 대학(원)의 뿌리 커리큘럼을 복원해, 전문이론과 현장기술 겸비한 고급인력을 양성키로 했다. 이공계 전문학사 이상의 외국 유학생을 뿌리산업의 숙련기술인력으로 활용하기 위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시행도 검토중이다.

또 섬유 패션의 하이브리드 및 슈퍼섬유소재 분야와 함께 아웃도어 등 레저산업을 선도할 ‘고급전문인력’ 양성을 확대하고, ‘패션전문인력’과 중소 업체 수출을 지원할 ‘시장개척 전문인력’을 양성할 방침이다.

아울러 4대 분야에서 양성·공급된 인력이 일할 수 있는 수요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해양플랜트 서비스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LNG선 등 발주와 연계한 국내 해양플랜트 기자재 업체의 수행실적 확보를 지원키로 했다.

이 밖에 스마트미터기 보급 등을 통해 에너지 수요관리시장과 연계한 임베디드 SW 신규수요를 창출하고, 오폐수처리 시설 구축·생산성 개선 지원 등을 통해 뿌리산업의 성장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오는 2017년까지 총 3만7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4대 전략산업 인력양성을 통해 약 5000명을 취업으로 연계하고, 해양플랜트 추가수주, 임베디드 SW 시장 조성 등으로 약 6만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여 총 6만5000명의 추가 고용여력이 확보될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부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우리 산업의 일자리 창출력을 높이기 위한 후속대책을 세부 업종, 계층별로 지속 발굴할 것"이라며 "모든 후속 대책에는 인력문제해결 및 일자리 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포함해 고용률 70% 달성을 적극 뒷받침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