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재외공관 해킹시도 5년간 1만2000건

2013-09-18 12:20
  • 글자크기 설정

2009년보다 올해 3배 증가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최근 5년간 외교부와 재외공관에 대한 해킹 시도가 3배 가까이 늘었지만 정보보안 장비의 상당수가 내구연한을 초과해 해킹 방어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원유철 의원이 18일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0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외교부 본부와 재외공관에 대한 해킹시도가 총 1만1900여건을 기록했다.

2009년 1300여건이던 해킹시도는 올해 8월 현재 3600여건으로 3배가량 증가했다.

올해 유형별 해킹시도의 경우, 홈페이지 해킹시도가 2553건으로 지난해 283건에 비해 무려 9배가량 늘었다.

이메일 계정 탈취 시도·해킹 메일 수신 404건, 인터넷망을 통한 정보수집 시도 122건, 악성코드 감염 179건, 디도스(DDoS, 분산서비스 거부) 공격 53건, 네트워크 침입탐지시도 80건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교부 본부와 재외공관에서 운영 중인 외부 침입차단시스템(firewall)은 52대 가운데 29대가, 재외공관에서 본부에 보내는 전문을 암호화하는 장비인 가상사설망(VPN) 7대 모두가 내구연한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교부 본부에 설치한 침입방지시스템(IPS) 10대 전부와 유해트래픽탐지시스템(TESS) 315대 중 308대도 내구연한을 넘겼다.

올해 외교부의 정보보안 관련 예산은 20억5000여만원으로 지난해보다 4억원이 줄었고, 외교부 전체 예산의 0.1% 수준에 그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