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사 교과서로 공부하면 수능 절반 틀려"

2013-09-15 11:13
  • 글자크기 설정

한국 근·현대사 내용 빈약해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민주당 박홍근 의원이 14일 "친일·독재 미화 역사관으로 논란이 된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를 토대로 2013학년도 수학능력시험 한국 근·현대사 과목을 풀이하면 전체 문항 중 절반에서 잘못된 답안을 고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날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18번 문항에서 '계엄 당국이 발포 명령을 내려 무차별 발포를 시작했다'는 내용의 보기 (나)는 5·18 민주화운동을 의미하는데, 해당 교과서엔 신군부의 발포 관련 내용이 전혀 없어 수험생이 문제를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신헌법과 관련한 문항의 오류도 지적됐다.

19번 문항은 '(가)는 헌법에 대한 논의를 전면 금지해 국민의 저항을 탄압하는 한편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제한해 기본권을 침해했다'는 지난 2010년 대법원 판시 내용을 제시했는데, 수험생은 '(가)'가 당시 위헌 판결을 받은 유신헌법임을 유추해야 해당 문항을 풀 수 있다.

박 의원은 "교학사 교과서에는 유신헌법이 '대통령을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중임 제한 없이 선출하게 하고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긴급 조치권을 발동한 근거'라고만 설명돼 있어 (가)가 설명하는 것이 유신헌법인지 알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또 6·15 공동선언 내용의 일부를 기술하며 개성공업지구와 관련한 설명을 고르는 20번 문항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교학사 교과서에서는 그간의 남북선언을 열거하며 '언제나 선언에 그치고 말았다'고 했지만 개성공업지구만 해도 잠시 중단 후 가동을 준비하는 상황이라 교과서 설명대로라면 문제를 이해하는 데 혼동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 의원은 "이번에 검정을 통과한 교학사 교과서로 공부했다면 지난해 치러진 수능시험 중 20문항 50점 가운데 10문항 25점을 놓쳤을 것"이라며 "역사관을 왜곡하고 역사적 사실도 잘못 기술한 교학사 교과서의 검정은 취소돼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