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제공=성남시청) |
1994년에 준공된 성남수질복원센터는 부지면적 269,534㎡(81,534평), 일일 시설용량 460,000톤 규모의 하수처리시설로서, 하수처리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악취로 인해 인근 주민에게 지속적인 생활불편 등을 야기해 왔다.
그동안 시는 하수처리방식의 고도화, 개방 시설물의 덮개설치, 악취 포집 및 탈취 등 다양한 대책을 강구·시행 했으나 지상도출식 시설 한계로 근본적 해결이 되지 못했다.
이에 시는 복정동 성남수질복원센터 하수처리시설에 대한 지하화를 적극 추진중이다.
지하화를 추진하는 데 드는 총 사업비는 4,000억원의 규모다.
사업의 효율적 추진과 비용 배분을 위해 제1처리장 245,000톤(약 2,100억원)을 우선적으로 지하화 한 후 제2처리장 215,000톤(약 1,900억원)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 지하화에 소요되는 재원 조달은 민자유치를 추진해 진행하고, 오는 2017년부터 착수절차에 들어간다.
2012년 기준 전국의 수질복원센터의 경우 약 25여곳이 민간자본을 유치해 설치·운영이 보편화 돼 있어, 민자유치 추진 방안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복정동 수질복원센터가 지하화되면 지상부에는 승마장, 골프연습장, 체육시설, 공원 등 다양한 편의시설 설치로 인근 지역주민을 위한 편의시설로 활용되어 지역주민이 즐겨찾는 명소로 각광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