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펀드는 지난 5월 미국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이 부각돼 채권형 펀드에서 주식형 펀드로, 신흥국에서 선진국으로 자금이 이동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1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8월까지 글로벌 펀드 자금은 전년동기 대비 8.3% 증가한 1919억 달러가 국내로 순유입됐다.
글로벌 펀드 자금 유입 양상은 주요 국가 양적완화 정책 이슈에 민감하게 바꼈다.
지난 5월까지 주요국의 양적완화 정책으로 국내 자금 유입세는 지속됐다. 1~5월 평균 유입 자금 규모는 300~400억 달러 내외다.
그러나 5월 말 미국 양적완화 정책 축소 가능성으로 6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규모인 808억 달러가 순유출됐다.
7월에는 미국과 유럽의 경기회복 기대감에 555억 달러 순유입으로 전환됐고 8월에는 신흥국 금융불안으로 245억 달러 순유출을 기록했다.
올해 채권형 펀드 자금 유입세는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이는 신흥국 채권시장 불안이 확대된 탓이다.
신흥국 경기 불안은 주식형 펀드 자금 흐름에도 영향을 미쳤다. 선진국 경기회복 기대감까지 선반영되며 7월 이후 신흥국에서 선진국으로 자금 유출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미국이 이달 양적완화 정책 불확실성을 해소한다면 유럽 등 선진국 주식시장으로 투자자금 이동이 가속화될 것으로 금감원은 내다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기회복세, 경상수지 호조 등을 감안할 때 글로벌 자금 이동에 따른 국내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그러나 급격한 자본유출 억제 및 금융 불안 요인 관리 등에 중점을 두는 거시경제 운용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