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3월 25일∼4월 30일 초등학교 4∼6학년, 중·고등학생 등 130만여명을 대상으로 '2013년 1차 온라인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학생(82.2%) 중 2만1000여명(2%)이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 벌인 '2012년 2차 온라인 학교폭력 실태조사'의 피해 경험 응답자 6만8000여명(7.9%)의 25% 수준이다.
가해학생도 지난해 2차 조사 결과 3만5000여명에서 올해 1만1000여명으로 줄었다.
피해 응답자 중 학교급별로는 초등학생이 10만여명으로 절반을 차지해 가장 많았다. 중학생 8000여명, 고등학생 3000여명 순으로 나타났다. 또 여학생(9000여명)보다 남학생(1만2000여명)의 피해 경험이 더 많았다.
학교폭력은 주로 쉬는 시간(41.8%)이나 하교시간 이후(18.3%)에 발생했으며, 장소로는 교실(38.7%), 학교 내 다른 장소(14.4%), 복도(8%) 등으로 학교가 여전히 폭력에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폭력 유형별(복수응답)로는 언어폭력이 1만6057건으로 가장 많았고, 집단따돌림 8355건, 신체폭행 5080건, 사이버 괴롭힘 4661건, 스토킹 4300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강제추행이나 성폭력도 1401건에 달했다.
피해학생 대부분이 가족(48.9%), 친구나 선배(22.4%), 학교나 교사(26.5%), 117 및 외부기관(3.4%) 등에 피해사실을 알렸다.
학교폭력을 목격한 학생도 괴롭히는 친구를 말리거나(30.8%), 가족에 알림(16.8%), 학교·교사에게 알림(16.8%) 등 적극적으로 대응했으나 35.8%는 모르는 척 외면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학교 내 폭력 예방을 위해 학교가 그동안 발표된 예방대책을 자율적으로 선택해 계획하고 맞춤식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도교육청은 지역별 컨설팅단 6∼7명을 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