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의 만찬에서 “여론을 수렴하지 않고 전력요금체계를 결정하면 증세후폭풍 같은 문제가 생긴다”며 “지금까지 정부에서 내놨던 대책을 총 집대성해서 요금체계를 만들 겠다”고 이 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선택형 요금제와 연료비연동제가 맞닿아서 잘 갈지 시뮬레이션을 돌려서 보겠다”며 “전력요금체계 관련해서 방향은 △요금폭탄 없애는 것 △산업용 전기요금 현실화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수요관리 시장 창출 등 세가지에 초점을 맞추겠다”고 강조했다.
밀양 송전탑 공사 문제에 대해 윤 장관은 기다려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공사라는 건 여건이 돼야 한다. 지금 보상지원법이 국회 상임위에 계류 중에 있다”며 “밀양 공사는 상임위가 열리면 아마 제일 먼저 처리될 것으로 보여 시기적으로는 추석이후 여건이 조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베트남 순방에 대해선 “이번 대통령 순방에 중소기업이 절반이상을 차지한다”며 “중소기업 입장에선 경제사절단에 들어가 기업 이미지 널리 알리는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이번 대통령 순방의 핵심은 베트남 원전이란 분석이 많다”며 “베트남 정부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는 내년 말까지 진행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중FTA 7차협상에 대해서는 당장 이렇다 할 대답을 내놓지 못했다.
윤 장관은 “협상이란 건 마지막까지 밀고 당기기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한을 정해놓고 말하기가 애매한 측면이 있다”며 “사실 지금은 1단계 협상이지만, 사전협의단계라고 보면된다. 중요한 내용들은 2단계 들어가서 결정짓게 된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윤 장관은 올해 남은 기간 신시장 창출에 역점을 두고 추진할 것이라는 뜻을 내비쳤다.
그는 “얼마전 전경련 등 경제단체장들 만나서도 얘기한 부문이지만 정부가 투자할 곳을 많이 찾아볼 것”이라며 “예를 들어 얼마전 발표한 ‘ICT 활용한 전력수요시장’처럼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 그런 것들을 찾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