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동 공평구역 35년만에 소단위 맞춤 개발로 정비

2013-08-22 10:06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35년간 묶여 있던 서울 종로구 인사동 공평구역 일대가 소규모 분할 방식으로 정비된다.

1973년 도심재개발사업이 시작된 이래 대규모 철거에서 소단위 맞춤형 개발로 전환한 첫 사례다.

22일 서울시에 따르면 전날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인사동 161번지 일대 3만3072㎡를 69개 소단위 맞춤형으로 정비하는 '공평 도시환경정비구역 변경 지정(안)'을 가결했다.

대상지는 공평도시환경정비구역 16개 지구 중 아직 개발이 이뤄지지 않은 승동교회 주변 6개 지구다.

이 지역은 그동안 철거재개발구역으로 묶여 개별 건축행위가 제한돼 왔다. 그러나 이번 변경안을 통해 기존 6개 대규모 획지가 총 69개 중·소규모 획지로 변경, 인사동 일대 역사적 도시 형태를 유지하면서 노후 건축물을 개선할 수 있게 됐다.

또 사업시행절차가 도시환경정비사업이 아닌 건축허가절차로 추진돼 사업 기간이 6개월에서 1개월 이내로 단축되는 등 간소화된다.

개별건축행위 시 건폐율은 60%에서 최대 80%까지, 1~2층으로 제한됐던 건물 높이는 3~4층까지 완화된다. '리모델링 활성화 구역지정'으로 기존 건축물을 철거하지 않고도 연면적의 30%까지 완화, 증축이 허용된다.

기존에 계획된 도로는 최대한 축소하고 골목길을 유지해 차량이 아닌 보행자 중심 도로로 정비한다. 화재 위험에 대비해 현재 약 2m 폭의 골목길을 건물 신축 시 건축선 후퇴를 통해 4m로 확장해 소방도로를 확보한다.

다만 인사동의 특수성을 감안해 골동품점·표구점·필방·화랑 등은 권장하고 화장품점·커피전문점·노래방 등의 업종은 불허된다.

시는 개별단위로 진행되는 소규모 개발 때 도로 등 기반시설 확보가 어려운 만큼 필요한 경우 공공에서 예산을 직접 투자하고 나중에 회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서울시는 장기간 도시환경정비사업이 중단된 총 20개 구역, 57개 지구에 대해서도 소단위 정비로 전환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이제원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소단위 맞춤형 정비사업은 1990년 개념이 도입된 이래 한 건도 이뤄진 적이 없다"며 "한양도성으로 둘러싸인 서울의 역사·문화적 환경을 최대한 보호하면서 낙후성도 개선하는 정비계획의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