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결정적인 회군의 명분을 찾지는 못했지만 국회 본연의 임무인 임시국회가 다가오고 있어 고민에 빠졌다.
새누리당은 이미 작년도 결산안 처리를 위한 8월 임시국회를 단독 소집해 놓은 상태다.
민주당 지도부는 일단 19일부터 시작되는 임시국회에는 응하지 않고 오는 21일까지 국정원 국정조사 청문에 주력할 계획이다.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는 18일 “국정조사가 끝나고 여야가 의사일정을 합의해야 한다”면서 “국민 관심사가 국정조사에 쏠린 상황에서 단독으로 결산국회 소집을 요구한 것은 장외투쟁 동력을 빼고 국정조사를 ‘물 타기’하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국정원 국정조사 결과에 따라 당장 이번 주부터 전면적인 장외투쟁으로 전선을 확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당내에선 지난 16일 열린 국정원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핵심증인인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이 사상 초유의 증인선서 거부와 불성실한 증언 태도로 진상규명을 오히려 방해했다는 불만도 표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김관영 수석대변인은 “두 증인이 의도된 허위 진술과 진실과 동떨어진 이야기로 일관하는 모습을 본 국민들이 상당히 분노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증인선서 거부의 배경, 이들의 진술을 비호하는 새누리당의 짬짜미 의혹을 제대로 알리는 수밖에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당 일각에선 전면적인 장외투쟁으로 나설 경우 결산국회는 물론 다음 달 정기국회까지 연계해서 투쟁의 강도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변수는 민주당이 제안한 대통령과의 회담 성사 여부다.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 입장에서도 하루 빨리 야당을 원내로 불러들여 정국을 안정시켜야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예산 결산과 민생법안, 세제개편안 처리 등이 현안이 산적한 상황에서 여야 모두 ‘국정원 정국’에서 빠져나오지 못할 경우 따가운 비판여론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