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네티즌 간 사이버전은 매년 광복절, 삼일절과 같은 국경일의 연례행사처럼 진행됐다. 14일 관련 전문가들은 올해도 한국, 일본을 둘러싼 국내외적 환경이 한일 사이버전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정부 당국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올해는 일본이 군사대국화를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일본에서 독도 여론조사를 통해 역사를 왜곡하는 등 일련의 일본 정부 행동들에 대해 국내에서 반일 감정이 고조되고 있다. 또 미국 구글 지도에서 독도 표기가 변경된 것과 관련, 국내 네티즌들은 일본에 대한 감정이 악화되는 등 양국의 국내외적 상황을 살펴보면 한일 사이버전은 발생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박원형 극동대 사이버안보학과 책임교수는 “지난 2010년 8.15 광복절 당시 일본 해커가 우리나라 민간 홈페이지를 해킹해 악성코드를 유포 사이트를 구축하고 좀비PC를 다량 유포,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을 퍼부은 전례가 있다”며 “지난 2009년 7.7 디도스 공격 당시 미국 독립기념일 7월4일에 맞춰 미국 백악관 등 정부사이트를 공격한 점과 최근 6.25 사이버 공격 등을 돌이켜보면 특정 기념일에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는 것은 이제 국가 간 사이버전의 기본으로 정착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박 교수는 “북한이 실제 공격해도 확인이 불가능한 점을 악용해 일본 해커가 북한의 공격을 위장해서 교란시킬 가능성도 있는 만큼 정부기관에서는 8.15 사이버전이 발생하기 전에 예방대책 마련과 철저한 대응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반크(www.prkorea.com)’ ‘독도수호대(www.tokdo.co.kr)’ ‘사이버독도닷컴(www.cybertokdo.com)’ 등과 같이 사이버공격이 집중될 독도 관련 사이트에 모니터링 인원을 추가 배치했다.
KISA는 또 일본 컴퓨터침해사고대응반(CERT) 등과 핫라인을 개설, 한일 사이버공격에 대응할 계획이다. 안랩, 이스트소프트 등 국내 보안업체들도 한일 주요 사이트의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특이 사항 발견 시 KISA 등과 적극 공조할 예정이다.
박 교수는 “일부 국내 네티즌들이 애국심으로 사이버공격에 가담할 수 있겠지만 이는 명백한 범죄며 사이버공격은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도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