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가 6일 발표한 8월 최근 경제동향에 따르면 서비업생산을 제외한 고용·광공업생산·소비·투자 등이 개선됐다. 특히 2분기 전체로 볼 때 광공업생산 설비투자를 제외한 서비스업생산, 소비, 건설투자 등 지표가 1분기 대비 완만한 개선세를 보였다.
6월 중 고용시장은 전월에 비해 취업자 증가폭이 전년동월 26만5000명에서 36만명으로 확대됐다. 광공업생산은 자동차 석유정제 등이 증가하면서 전월대비 0.4% 증가했다.,
또 소매판매는 준내구재 판매 감소에도 불구하고 내구재와 비내구재 판매가 증가하면서 전월대비 0.9% 상승했다. 반면 서비스업생산은 전문과학기술업 등이 감소하면서 전월비 0.1% 떨어졌다.
7월 중 수출은 휴대폰 등 IT 품목과 선박 수출 증가 등으로 전년동월비 2.6% 증가, 수출입차는 27억1000만 달러 흑자세를 지속했다.
한편 국내 금융시장은 미국의 급격한 양적완화 축소 우려가 다소 완화되면서 주가는 상승하고 환율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주택시장은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월대비 감소(0.1→△0.1%)로 전환되고 전세가격은 전월에 비해 상승폭이 확대(전월대비 0.3→0.4%) 됐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은 “우리 경제는 최근 주요지표가 개선되는 등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전제한 뒤 “다만 민간부문 회복세가 확고하지 않고 미국 양적완화 리스크, 주택거래 급감 등 대내외 하방위험도 상존한다”고 분석했다.
이 과장은 또 “대내외 경제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민간부문 회복세가 확대될 수 있도록 투자 활성화 등 경제 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대응 노력을 강화하겠다”며 “일자리 창출 생활물가 안정 등 서민생활 안정에 주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